목은(牧隱) 이색 (李穡 )         작성일자; 2007.08.05.일요일.맑음

 

이색;

   고려후기 대사성,정당문학,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학자로써 

   포은 정몽주,야은 길재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중 한사람.

생졸; 1328-1396.69세

호; 목은

본관;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아버지는 찬성사 이곡이며,이제현의 문인이다.

과거에 급제한 후 원나라에 가서 성리학을 연구하다가 귀국해서 고려의 대신이 되었다.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1388년) 때 우왕이 강화로 유배되자 아들 창(昌)을 즉위시켜 이성계의 세력을 억제하려

하였으나 이성계에 의해 유배되었다.

조선 개국 후 인재를 아낀 태조가 1395년 그를 한산백에 책봉했으나

이를 사양하고 이듬해 중국 여강으로 가던 중 한산백 이색이 여흥에 있는 신륵사에서 죽었다. 

 

그의 문하에 권근,김종직,변계량 등 뛰어난 제자들을 배출하여 학문과 정치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다.

공민왕 때 문하시중을 지냈으며 성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고려 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서 고려의 멸망과 함께 은둔하였다.

저서로'목은문고','목은시고' 등이 있다.

 

부음이 들리자 임금이 조회를 정지하고 치제하였으며 부의를 내려 주고 시호를 문정(文靖)이라 하였다.

이색은 이곡의 아들이다.

어릴 때부터 총명과 슬기로움이 보통 사람과 달랐고, 나이 14세에 성균시에 합격하였다.

1348년,아버지 이곡의 중서사 전부가 되었는데 이색은 조관의 아들이라 하여 원나라에 가서 국자감 생원이 되었다.

1351년1월,아버지 이곡이 본국에 돌아와 죽으니 부친상으로 귀국하여 상제를 마치고,

   공민왕이 처음으로 과거를 설치할 때는 이제현 등이 색을 장원으로 뽑았다.

1354년, 회시에 합격하였으며, 전정(殿庭)에서의 대책(對策)에서 제2갑(甲) 제2명으로 합격하였다. 독권관(讀券官) 참지정사(參知政事) 두병이(杜秉彝)와 한림 승지(翰林承旨) 구양현(歐陽玄) 등 제공(諸公)이 크게 칭찬하여 칙지로 응봉 한림문자·동지 제고 겸 국사원 편수관(應奉翰林文字同知制誥兼國史院編修官)을 제수받고 귀국하자, 공민왕이 전리 정랑(典理正郞)·예문 응교 겸 춘추 편수(藝文應敎兼春秋編修)를 더하였다. 이듬해 내사 사인(內史舍人)에 오르고, 여름에 원나라 서울에 가서 한림원(翰林院)에 등용되었다. 병신년(1356)에 모친이 늙었다 하여 벼슬을 버리고 본국으로 돌아와 가을에 이부 시랑(吏部侍郞)에 임명되고, 다시 옮겨서 우부승선(右副承宣)에 이르렀다.

이로 말미암아 후설(喉舌)015) 로 임금을 가까이 한 지가 7년이나 되었다.

1361년, 홍건적이 경성을 함락시켜 공민왕이 남행할 때,

색은 왕의 행행에 호종하여 도움을 이루어 적을 물리친 뒤에는 훈 1등에 책정되고 철권을 하사받았다.

계묘년에 정동행중서성 유학제거(征東行中書省儒學提擧)를 원나라에서 임명받고, 본국에서는 밀직 제학(密直提學)을 임명받고 단성 보리 공신(端誠保理功臣)의 호(號)를 하사받았다.

정미년에 원나라 정동성 낭중(征東省郞中)으로 제수되고, 본국에서는 판개성 겸 성균 대사성(判開城兼成均大司成)으로 임명되었는데, 한때의 경술(經術)을 통하는 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 등 6, 7인을 천거하여 모두 학관(學官)을 겸했다. 경전을 나누어 수업을 하매 서로 어려운 것을 논란해서 각각 있는 지식을 다했다. 색은 변론하고 분석하며 절충하는 데 저물도록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이리하여 기억하고 외우기만 하는 습관과 공리의 학설이 점점 없어지고, 성리의 학문이 다시 일어났다.

기유년에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지공거(知貢擧) 이인복(李仁復)으로 더불어 임금에게 청하여 처음으로 중국의 과거법을

쓰자고 했는데, 색이 무릇 공거(貢擧)를 주장한 지 네 번이나 되었으므로 사람들이 그 공정함을 탄복했다.

공민왕이 노국 공주의 영전을 짓는데 말할 수 없으리만큼 사치하고 호화롭기가 지극하여,

시중 유탁이 상서하여 정지하기를 청하니,임금이 노여워하여 유탁을 죽이려 하고,

이색을 시켜서 여러 신하들에게 알리는 교유문을 지으라 했다.

이색이 죄명을 임금에게 물으니, 임금이 탁의 네 가지 죄목을 들었다.

색이 대답하였다.

"이것은 죽일 만한 죄가 아닙니다. 원컨대, 깊이 생각하옵소서." 임금이 더욱 노하며 독촉하기를 급히 하였다.

색이 아뢰었다.

"신이 차라리 죄를 받을지언정 어찌 글로써 죄를 만들겠습니까?" 임금이 감동되어 깨우쳐 탁이 죽기를 면했다.

신해년에 모친의 상을 만났으나,

이듬해 임금이 기복시켜 정당 문학을 삼았는데, 병이 있다고 사면하였다.

갑인년에 공민왕이 돌아갔다.

색이 병이 중해서 문을 닫고 7, 8년을 지내다가 우왕 8년 임술년에 판삼사사로 임명되고,

무진년에 최영이 요동위를 공격하자고 청하여, 우왕이 기로와 양부로 하여금 모여서 가부를 논의하라고 하니,

모두 임금의 비위를 맞추어서 반대하는 자가 적고 좋다고 하는 자가 많았다.

색도 여러 사람의 의견을 따랐으나, 물러 나와서 자제들에게 하는 말이,

"오늘날 내가 너희들을 위해서 의리에 거스리는 논의를 했다." 고 하였다.

이 태조가 회군하자 최영을 물리치고 색으로 문하 시중을 삼았다.

공민왕이 돌아간 뒤로 부터 원자라 천자가 번번이 집정 대신을 들어오라고 해서 모두 겁을 내고 감히 가지 못했는데,

이색이 시중이 되어 폐왕 창(昌)을 친히 조회하도록 하고,

또 창왕으로 감국을 시키도록 하려고 원나라에 들어가기를 자청하여 드디어 색으로 하여금 하정사를 삼았다.

그리고 태조가 칭찬하여 말하였다. "이 노인은 의기가 있다."

이색이 생각하기를 태조의 위엄과 덕이 날로 성해지고, 중외가 마음이 돌려져서 자기가 돌아오기 전에 혹 변란이라도 생길까 염려하여 한 아들을 따라가게 하였다. 태조는 전하(殿下)017) 로 서장관(書狀官)을 시켰다. 천자가 원래에 색의 명망을 들었으므로, 인견하고 종용(從容)하게 하는 말이, "그대가 원나라 조정에서 벼슬해 한림 학사를 했으니 응당 한어(漢語)를 알리라." 하니, 색이 당황하여 한어(漢語)로 대답하기를, "왕이 친히 조회하려 합니다." 하였다. 황제가 그 뜻을 깨닫지 못학고 묻기를, "무슨 말이냐?" 하매, 예부의 관원에게 전하여 주달하게 하였다. 색이 오래도록 조회하지 않았으므로 말씨가 대단히 간삽(艱澁)하니, 천자가 웃으면서 하는 말이, "그대의 한어는 정히 나하추(納哈出)와 같다." 하였다. 색이 돌아와서 사람에게 말하기를, "지금의 황제는 마음에 주장하는 바가 없는 사람이다. 내 마음으로 이것을 물으려니 하면 황제는 묻지 않고, 묻는 바는 모두 내 뜻과는 같지 않더라." 하니, 당시의 논의로 기롱(譏弄)하기를, "큰 성인의 도량을 속유(俗儒)가 어떻게 요량할 수 있었겠는가?" 하였다. 겨울에 공양왕이 즉위하였는데, 이색은 시론(時論)에 참예하지 않았다고 해서 다섯 차례나 폄척(貶斥)당하였다. 태조가 즉위하자 옛날의 벗이라 하여 용서하니, 태조에게 나아가서 보고 올 때마다 자제들에게 하는 말이, "참으로 천명을 받은 거룩한 임금님이시다." 하였다. 또 일찍이 영선(營繕)을 정지하기를 청하고는 물러 나와서 사람들이 묻는 일이 있으면, "창업하는 임금은 종묘·사직과 궁궐이며 성곽 같은 것을 늦출 수 없는 것이다." 고 했다. 을해년 가을에 관동(關東)에 관광하기를 청하여 오대산(五臺山)에 들어가 그 곳에서 거주하려 하니, 임금이 사신을 보내어 불러 와서 한산백(韓山伯)을 봉했다. 색이 진현(進見)하고 하는 말이, "개국하던 날 어찌 저에게 알리지 않았습니까? 저에게 만일 알렸다면 읍양(揖讓)하는 예를 베풀어서 더욱 빛났을 것인데, 어찌 마고(馬賈)018) 로 하여금 〈추대하는〉 수석이 되게 하셨습니까?" 하였다. 이것은 배극렴(裵克廉)을 가리킨 것이었다. 남은(南誾)이 〈옆에 있다가〉 하는 말이, "어찌 그대 같은 썩은 선비에게 알리겠는가?" 하니, 임금이 은(誾)을 꾸짖어 다시 말을 못하게 하고, 옛날 친구의 예로 대접하여 중문까지 나가서 전별하였다. 뒤에 〈이것을〉 논의하는 자가 있으므로, 남재(南在)가 색의 아들 이종선(李種善)을 불러서 하는 말이, "존공(尊公)이 광언(狂言)을 하여 이를 논의하는 자가 있으니, 떠나지 않는다면 반드시 화를 입을 것이오." 하였다. 병자년 5월에 신륵사(神勒寺)로 피서하기를 청하였는데, 갈 때에 병이 생겼다. 절에 가자 병이 더하니 중이 옆에 와서 무슨 말을 하려고 하자, 색이 손을 내 흔들면서 하는 말이, "죽고 사는 이치는 내가 의심하지 않으오." 하고, 말을 마치자 돌아갔다. 색은 타고난 자질이 밝고 슬기로왔으며, 학문이 정박(精博)하고 마음가짐이 관대하였다. 사리를 처리하는 데 자상하고 밝아서, 재상이 되어 기성의 법을 따르는 데 힘을 쓰고 복잡하게 고치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후학을 가르치는 데에도 애를 쓰고 부지런하여 게을리 하지 않았으며, 문장을 짓는 데는 붓만 잡으면 즉시 쓰되 사연이 정밀하고 간절했었다. 문집 55권이 세상에 나왔다. 집을 위해서는 재산의 유무(有無)를 묻지 않았으며, 평시에 경솔한 말과 갑자기 노여워하는 얼굴빛을 보지 못했다. 연회나 접대를 받는 자리에서도 여유있고 침착하여서 처사하는 데 난번되지 않았고, 마음에 거리낌이 없었으며 언동은 자연스러웠다. 오랫동안 임금의 은총과 좋은 자리에 있었어도 기뻐하지 않았고, 두 번이나 변란과 불행을 만났으되 슬퍼하지도 않았다. 늙어서 왕지(王旨)를 받들어 지공 대사(指空大師)019) 와 나옹 대사(懶翁大師)020) 의 부도(浮圖)에 명(銘)을 지었기로, 그 중들이 문하에 내왕해서 불교를 좋아한다는 비평을 받았다. 색이 듣고 하는 말이, "저들이 임금과 어버이를 위해서 복을 기원해 주는데, 내가 감히 거절할 수 없었다." 하였다.

이색의 아들은 세 아들이 있는데,

맏아들 이종덕과 둘째 아들 이종학은 모두 벼슬이 밀직사에 이르렀으나 먼저 죽었고,셋째 아들 이종선은 병조 참의가 되었다.

',·´″″°³ 역사.인물.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영 장군과 이성계  (0) 2007.08.08
조준  (0) 2007.08.05
포은 정몽주  (0) 2007.08.05
조사의의 난과 함흥차사  (0) 2007.07.20
이성계와 위화도 회군  (0) 2007.07.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