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복의 어원과 유래           작성일자; 2008.06.03.화요일,맑음

 

1.삼복(三伏)의 어원

   삼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는 속절이다.

   하지후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

   넷째 경일(庚日)을 중복.

   입추 후 첫 경일(庚日)을 말복이라하여,이를 삼경일혹은 삼복 이라 한다.

   복날은 10일 간격으로 오기 때문에 초복과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린다. 

   그러나,

   해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하는데,이를 월복(越伏)이라고 한다.

 

   삼복의 어원에 대해서는 신빙할 만한 설이 없다.

   최남선의 '조선상식'에 의하면 '서기제복'이라는 뜻으로 풀이되고 있다.

   ‘서기’는 여름의 더운기운을 뜻하고,

   ‘제복’은 복을 꺾는다는 뜻으로 복날은 더위를 꺾어 정복하는 날이라고 했다.

   즉,더위는 피하는 것이 아니라 제압하거나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본 것이며,

   맞서 극복하는 데 중요한 전법 중 하나가 흔히 말하는 이열치열(以熱治熱)이다.

 

2.삼복(三伏)의 유래

유래 1

   복(伏)은 원래 중국의 속절로 진(秦)·한(漢) 이래 매우 숭상된 듯하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 '동국 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사기에 의하면 진덕공 2년에 처음으로 삼복 제사를 지냈는데,

   '성 4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를 방지했다고 하였다.'라는 내용이 전한다.

   이로 보아 삼복은 중국에서 유래된 속절로 추측된다.

 

유래 2

   오행설에 의하면 봄은 木의 기운이 왕성한 계절이고, 여름은 火의 기운이 왕성한 계절이며,

   가을은 金의 기운이 오앙성하고, 겨울은 水의 기운이 왕성한 계절이다.

   이 伏(복)은 오행설에서 '가을의 서늘한 金의 기운이 여름의 뜨거운 火의 기운을 무서워하여

   엎드려 숨어있다'는 뜻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 후한의 유희가 지은 사서,혹은 중국 진나라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3.삼복을 정하는 법

   초복은 하지가 지난 뒤 일간이 세 번째 경(庚)이 드는 날.

   중복은 하지가 지난뒤 일간이 네 번째 庚이 드는 날.

   말복은 입추가 지난 뒤 일간이 첫 번째 庚이 드는 날 이다.

 

'십간'은

   甲과 乙은 방위가 동쪽이고,

   오행은 木에 해당하는 봄의 온화한 계절.

   丙과 丁은 방위가 남쪽이고,

   오행은 火에 해당하는 여름의 무더운 계절.

   戊와 己는 방위가 중앙이고,

   오행은 土에 해당하는 사계절을 뜻하며  庚과 辛은 방위가 서쪽이고,

   오행은 金에 해당하는 가을의 서늘한 계절.

   壬과 癸는 방위가 북쪽이고,

   오행은 水에 해당하는 겨울의 추운 계절이다.

   양력으로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에 음력으로는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다.

 

4.삼복의 풍속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이를 '삼복더위'라 한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이겨 내라는 뜻에서 높은 벼슬 아치들에게 빙표를 주어 관의

   장빙고에 가서 얼음을 타가게 하였다.

   복중에는 더위를 피하기 위하여 아이들과 부녀자들은 여름 과일을 즐기고,

   어른들은 술과음식을 마련하여 산간계곡으로 들어가 탁족을 하면서 하루를 즐긴다.

   한편으로 해안지방에서는  바닷가 백사장에서 모래찜질을 하면서  더위를 이겨내기도 한다.

   복날과 관계있는 속신으로 '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을 하면 몸이 여윈다.'는 것이 있다.

   이러한 속신 때문에 복날에는 아무리 더워도 목욕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초복에 목욕을 하였다면 중복과 말복 날에도 목욕을 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복날마다 목욕을 해야만 몸이 여위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5.삼복의 시절 음식

   우리나라의 4계절 가운데 초복,중복,말복이 지나는 30일 동안은  장마 뒤여서 습기가 많은 때이고,

   섭씨 30도에서 35도로 더위가 심할 때이다.

   초복과 중복, 그리고 말복에 걸친 삼복더위를 이겨내는 시절음식으로 개장국이있다.

   개장국은 더위로 인해 허약해진 기력을 충전시켜 준다.

   허준의 '동의보감'에 의하면 "개고기는 오장을 편안하게 하며 혈맥을 조절하고,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며, 골수를 충족시켜,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고,

   양도를 일으켜 기력을 증진시킨다."는 기록이 있어 개고기의 효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외에도 복날에 개장국을 끓여 먹는 풍속은 여러 세시기에도 나타난다.

   이들 기록은 개고기의 효능과 복중에 개장국을 절식으로 즐기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개장국을 먹으면서 땀을 내면 더위를 물리쳐 보허(한다."고 하였다.

   또한,'농가월령가'에는 황구의 고기가 사람을 보한다고 하여,황구를 일등품으로 여기고 있다.

   이러한 문헌을 통해서 볼 때, 개장국은 우리 민족이 건강식으로 널리 즐겼음을 알 수있다.

   개고기 요리법에 관한 기록은 조선시대 조리서에 나타난다.

   조선시대 조리서에는 개고기 요리 의 종류와 원리를 다양하게 기록하고 있다.

   "개고기는 피를 씻으면 개 냄새가 나고,피가 사람에게 유익하니 버릴 것이 아니라 개 잡을 때 피를 그릇에

   받아 고깃국에 넣어 차조기 잎을 뜯어넣고 고면 개 냄새가 나지 않는다."라는 기록이 있다.

   우리 민족이 개장국을 건강식으로 널리 즐겼음은 분명하나,

   지방에 따라서  개고기를 먹으면 재수가 없다고 하여 금하기도 하였다.

   또, 특정 종교의 세계관에 의해  개고기를 식용으로 하는 것을 금기시하기도 하였다.

   또한,개장국을 대신하여 삼계탕을 즐기기도 한다. 삼계탕은 햇병아리를 잡아 인삼과 대추,

   찹쌀 등을 넣고 고은 것으로서 원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6.삼복날의 대표적 음식

(1)삼계탕

   검은 영계에 백삼, 창기를 넣어 끓인것도 있고 영계에 찹쌀, 백삼, 마늘을넣은 영계백숙을들어서

   닭살은 소금에 찍어 먹고, 국물엔 찹쌀을 넣어 닭죽을 쑤어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하여 먹는다.

(2)개장국

   살찐 개를 삶는데 파, 마늘을 넉넉히 넣고,

   차조기 잎과 계란이나 죽순을 넣어끓여 고춧가루를 쳐서 밥을 말아 먹는다.

   이열치열이니 복중의 뜨거운 음식은 한여름 땀을 많이 흘려 허해진 몸을 보호한다는 의미를 더해서

   '보신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3)육개장

   민간인은 개장국을 먹고 관리층에서는 육개장을 먹었다. 육개장은  맛있는 쇠고기 양지머리 부분을

   오래도록 푹 삶아 찢어서 매운 양념을 하여 다시 국물에 넣고 끓인다.

   여기에 파를 큼직하게 갈라 넉넉히 넣고 고춧가루를 기름에 개어 넣어 맵게 끓인 국이다.

   매운 국은 간이 잘 맞아야 맛있고,

   파는 끓는 물에 슬쩍 데쳐 넣는다.건지로 고사리, 토란대,숙주 등을 넣기도 한다.

(4)민어

   민어는 6월이 가장 기름져 맛있고 애호박도 그때가 제철이다.

   민어 매운탕은 고추장을 풀어 넣은 장국에 민어와 도톰하게 절어 넣은 호박을 넣고

   파, 마늘,생강 등으로 양념하여 끓여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