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마을 운동                      2 019.12.25.수요일,맑음

새마을 운동은 1970년대의 한국 사회를 특징짓는 중요한 사건이다.

1970년4월22일,대통령 박정희는 한해 대책을 숙의하기 위하여 소집된 지방 장관회의에서 수재민 복구대책과 아울러 넓은 의미의 농촌 재건 운동에 착수하기 위하여 근면.자조.자립

정신을 바탕으로 한 마을 가꾸기 사업을 제창하고 이것을 '새마을 가꾸기 운동'이라 부르기

시작한 데서 시작되었다.
1971년,전국 3만3,267개 행정리동에 시멘트 335포대씩 균일적으로 무상 지원하여 각 마을마다 하고 싶은 사업을 자율적으로 하도록 하였다.

이 결과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는데,

첫째는 정부가 무상 공급한 시멘트로 부락민들이 자체 노력과 자체 자금을 투입하여 마을이

   필요로 하는 숙원사업을 해낸 경우이고,

둘째는 시멘트의 무상 공급을 받았지만 뚜렷한 사업을 하지 못한 경우이다.


정부는 반응이 있는 1만6600개 부락에 대하여 또다시 시멘트 500포대와 철근 1t씩을 무상공급하면서 자발적인 협동 노력을 장려하였다.
이와 같은 경쟁적·선별적 방식으로 점화된 새마을 사업은 정부의 절대적인 지원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이것이 단순한 농촌 개발사업이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의 근대화 운동으로 확대·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새마을 운동은

그 정신적 기조로서 근면·자조·협동을 설정하게 되고

그 추진 방법으로서는

우수한 지도자의 헌신적 봉사를 기조로 하고 동시에 정부에 의한 적극적인 지원이라는 방식을 택하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새마을 운동은 대통령의 절대적인 후원과 우수한 남녀 새마을지도자,

그리고 정부(공무원과 정부지원)라는 3자의 연합이 핵을 이루면서 추진된 국민운동이었다.

새마을 운동은 초기에는 단순한 농가의 소득배가 운동이었지만 이것을 통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면서부터는 도시·직장·공장에까지 확산되어 근면·자조·협동을 생활화하는 의식 개혁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운동을 통하여 경제적으로 자립하여 선진국 대열에 꼭 진입해야 한다는 의지를 국민들에게 강하게 심어준 정부 주도하의 국민적 근대화 운동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새마을 운동은

1969년의 3선 개헌, 1971년의 대통령 선거와 비상 사태선포, 그리고 1972년의 유신헌법

통과와 같은 권위주의 정권의 형성과정에서 진행되었으며 새마을운동의 본격적 전개가 유신체제와 더불어 진행되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새마을운동이 초기의 농촌개발사업에서 출발하여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엄청난 물량적·정신적 성과를 얻어가면서 점차 비농촌지역으로 확산되었고,

이 과정에서 물량적인 건설사업을 넘어 정치적 운동으로까지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새마을운동의 정치적 의미가 중요시되었다.

이는 다름이 아니라 정치적으로 점차 국민적 저항에 부닥치는 상황을 농민과 서민대중의 지지를 기반으로 유신체제를 지속시키기 위한 정치적 돌파구로 새마을운동을 추진하였다는

해석도 가능한 것이다.

정치적 의미가 어떠하든 새마을 운동은

대통령 박정희의 철저한 조국 근대화 정신의 소산인 것만은 사실이다.

그리고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의 경이적인 경제 발전을 뒤에서 받들어 준 정신적인 힘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