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승훈            2019.09.24.화요일,맑음

이승훈;일제강점기 오산학교 교장,민족대표33인 기독교대표,동아일보사 사장 ,독립운동가. 교육가.

생졸; 1864년(고종1)-1930년

본관; 여주

본명; 인환

호; 남강

출신; 정주

부; 이석주

모; 홍주 김씨


빈한한 서민집안에서 태어나 2세 때 어머니를 여의고,

6세 때에는 고향인 정주를 떠나 납청정으로 이사해 아버지가 죽을 때까지 3,4년간 서당에서 한문을 익혔다. 1874년,학업을 중단하고 그 곳의 이름난 유기상인 임권일 상점의 사환으로 들어가 3년 뒤에는 외교원 겸

수금원이 되었다.근면성과 성실성이 인근에까지 알려져 1878년 이도제의 딸 이경선과 결혼하게 되고,

이 때부터 점원을 그만두고 본격적으로 상인의 길을 밟았다.

보부상으로 평안도 및 황해도 각 지역 장시를 전전하면서 자본을 모아 납청정에 유기점을 차리고 평양에

지점을 설치하였다.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1887년 유기 공장을 세워 민족 기업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공장 경영 방법을 개선해,

첫째, 노동 환경을 일신했고,

둘째, 근로 조건 개선에 힘썼으며,

셋째, 근로자의 신분이나 계급에 구애됨이 없이 평등하게 그들을 대접하였다.

이와 같이, 근로자들의 작업의욕을 북돋아 생산능률이 향상되고 품질도 좋아져 사업은 날로 번창하였다.


그러나 1894년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나고,이어 청일 전쟁이 발발해 한반도가 전장화되자,

납청정의 이승훈의 상점과 공장은 전화를 입어 잿더미가 되었다.

덕천으로 가족과 함께 피란갔다 돌아와 철산의 오희순의 자본을 얻어 상점과 공장을 재건하였다.

1901년, 평양에 진출, 본격적으로 무역업에 손을 대 진남포에 지점을 설치하고, 서울·인천을 왕래하며

사업에 성공해 국내 굴지의 부호가 되었다.

1904년 러일 전쟁으로 다시 사업에 실패하자 고향으로 낙향하였다.

1907년 7월, 평양에서 안창호의 '교육 진흥론' 강연을 들은 후 개인의 영달보다는 민족을 구해야겠다는

굳은 결심 아래 금연·금주와 단발을 결행하고, 안창호가 조직한 비밀 결사 신민회에 가담하였다.

평양에서 용동으로 돌아와 서당을 개편해 신식 교육을 가르치기 위한 강명의숙을 설립하였다.

이어서 이 해 11월 24일, 중등 교육 기관으로 민족 운동의 요람인 오산 학교를 개교해 교장이 되었다.

이 학교는 이승훈의 열성과 성의을 바탕으로, 이종성·이광수·조만식 등의 노력으로 많은 인재를 배출해 민족교육 사상 금자탑을 이루어 놓았다.

교육사업에 헌신하면서 민족운동에 가담하던 중 일제의 간악한 탄압으로 1911년 2월 안악사건에 연루되어 제주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다.

이 해 가을에 '105인 사건'이 일어나 유동열·윤치호·양기탁·안태국·임치정 등 신민회 간부와 600여 명의

애국지사가 잡혔을 때, 이승훈도 주모자로 인정되어 제주도에서 서울로 압송되었다.

1912년10월, 윤치호 등과 함께 징역 10년을 선고받고 1915년 가출옥하였다.

오산 학교로 돌아와 학교와 교회일에 정성을 다하였다.

출옥 즉시 세례를 받고 장로가 되었다가 신학을 공부하기 위해 평양 신학교에 입학하였다.

1919년 3·1운동 때에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이 운동의 기독교 대표로 참가하였다.

3·1운동으로 종로서에 구속되어 다른 47인과 함께 1920년 경성 지방 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마포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1922년 가출옥해 오산 학교로 돌아왔다.

이 해 일본 시찰로 견문을 넓히고 오산 학교 경영에 심혈을 기울이던 중 1924년 김성수의 간청으로 동아

일보사 사장에 취임, 1년 동안 경영을 맡기도 하였다.

이 때 물산 장려 운동·민립 대학 설립운동 등에 가담했으며,

조선 교육 협회에도 관여하는 등 활동 범위가 매우 넓었다.

동아 일보사 장에서 물러난 뒤 다시 오산 학교로 돌아와 학교 운영에 심혈을 기울였다.

죽기 직전 자기의 유골을 해부해 생리학 표본으로 만들어 학생들의 학습에 이용하라는 유언을 남겼으나

 일제의 금지로 실행되지 못하고 오산에 안장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³ 역사.인물.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데라우치 암살 미수 사건/191025  (0) 2019.10.25
⊙ 신채호/191025  (0) 2019.10.25
⊙ 도산 안창호/190919   (0) 2019.09.19
⊙ 신민회/190919   (0) 2019.09.19
⊙ 이완용/190919   (0) 2019.09.19

⊙ 이승훈            2019.08.05.월요일,맑음

이승훈;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으로 한국 최초의 영세자이며 한국 천주교회 창설자 중의 한 사람이다.

생졸; 1756년(영조32년)-1801년(순조1년)

본관; 평창

교명; 베드로

호; 만천

부; 참판 이동욱으로 남인

외조부; 이용휴와 외삼촌 이가환의 영향

 

이승훈은 기호남인의 젊은 재사인 권일신·정약종·정약전·이기경 등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권철신을 중심으로 한 성호좌파의 학맥을 이어받았기 때문에 서양의 신학문에 대한 수용 열정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1775년 정약용의 누이와 결혼했다.

1780년(정조4년) 진사시에 합격, 성균관에 들어갔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에만 전념했다.

1783년 동지사의 서장관인 아버지를 따라 청나라에 갈 때, 천주교에 몸담고 있던 친척 이벽의 부탁을 받고 서학 서적을 구하기 위해 베이징 북천주당에 찾아갔다. 거기에서 천주교 서적을 접하고 교리를 연구한 후 입교할 것을 결심, 이듬해 예수회의 루이 그라몽(染棟材) 신부에게 영세를 받고 한국 최초의 천주교 영세신자가 되었다.

1784년 3월 수십 종의 교리서적과 십자고상·성화·묵주 등을 갖고 귀국하여 이벽·최인길과 함께 권일신, 정약용 형제 등을 대상으로 전도활동을 하면서 영세를 집전했다.

다음해 명례동의 중인(中人) 김범우 집에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를 창설했다.

이들은 정기적인 신앙모임을 갖고 교리서를 언문으로 번역해 배포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을사추조적발사건이 일어나자,

이승훈은 가족들의 권유로 서학을 이단으로 배척하는 척사문을 짓고 배교했다.

1787년 비밀리에 복교하여 자치적인 교회활동을 개시하여 권일신을 주교로 하고 스스로는 신부가 되어 성사를 집행했다.

1789년 10월 윤유일을 베이징으로 파견하여 자치적 교회의 존재를 알리게 하고 조상 제사에 대한 교리 해석과 성직자 파견을 부탁하게 했다. 그러나 베이징 교구장 알렉상드르 구베아(湯士選) 신부로부터 조상 제사의 불가 통보와 자치교회의 부정 회답을 받고 다시 배교를 했다.

1791년 평택현감으로 재직중 윤지충·권상연의 제사 거부로 비롯된 진산사건(珍山事件)이 일어나자 이기경을 비롯한 유생들의 상소로 관직을 빼앗기고 투옥, 옥중에서 배교를 하여 석방되었다.

1794년 중국에서 신부 주문모가 입국하여 전도활동을 하자 교회와 다시 접촉했으나, 다음해 윤유일·최인길·지황 등이 체포·처형되자 이에 연루되어 다시 투옥, 예산으로 유배되었다.

유배생활중 '유혹문'을 지어 유포하고

1796년 유배가 풀린 후 '주자백록동연의'를 짓는 등 교회활동을 단절한 입장을 밝혔다.

1793년 이후 기호남인들은 정치적으로는 채제공을 중심으로 한 채당(蔡黨)과 그에 반대하는 홍당(洪黨)으로, 천주교에 대한 입장에서는 신서파(信西派)와 공서파(攻西派)로 나누어졌다.

채당 신서파에 속한 그는 반대파에 속한 홍낙안·이기경 등에게 계속 공격을 받았다.

1801년 순조 즉위 후 정순왕후와 심환지 등 벽파세력 및 최헌중 등 남인의 일부 세력은 남인 시파가 천주교와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계기로 사학탄압을 내세우면서 신유사옥를 일으켰다.

이에 이가환·정약용·권철신·정약종·정약전 등과 함께 연루되어 같은 해 2월 26일 정약종·최창현·최필공·홍교만·홍낙민과 함께 '구서전법''밀통양인''잠모가환의 죄목으로 서소문 밖에서 참수당했다.

1856년 아들 신규의 탄원으로 대역죄는 신원되었다.

이후 신규와 손자 재의는 1866년에, 증손 연구·균구는 1871년에 순교하여 4대에 걸쳐 순교자를 냈다.

문집으로 '만천유고'가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