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당 창당                2019.12.18,수요일,맑음

1951년12월23일,

이승만을 당수로,이범석을 부당수로 창당된 자유당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강행하기 위한 대중 동원 역할을 했다.

6.25 전쟁 휴전 후 초기 자유당의 핵심 세력이었던 족청계 인사들이 제거되고 이기붕을 중심으로 한 체제로 바뀌면서 이승만 개인을 위한 사당이라는 성격이 강해졌으며,

이념성이 퇴색됨에 따라 공권력과 정치 깡패에 크게 의존하게 되어 결국 3·15부정 선거를

저지르기에 이르렀다.


1951년8월15일,

이승만은 정당을 만들 의사를 밝혔다.

자유당 창당의 목적은 “이기주의적 자본 만능의 사회를 획책하는 세력에 맞설 것”을 목적

으로 삼았으나,실제 목적은 ‘지주와 자본가의 정당’으로 인식되는 야당인 '민주 국민당'에

대항하는 데 있었다.

1950년 말부터 1951년 초반에 걸쳐 발생한 '거창 양민 학살사건','국민 방위군 사건' 등을

통해 이승만 정권의 무능과 무책임이 드러난 결과 이시영 부통령이 사임하고 야당인 민주

국민당의 김성수가 국회에서 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당시 대통령 선출 권한이 국회에 있었기 때문에 임기가 끝나는 1952년을 앞두고 재집권에 불안을 느낀 이승만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추진하기 시작했으며,

1951년8월15일,

 ‘광복절 기념사’를 통해 농민과 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새 정당을 만들 의사를 밝혔다.

1951년12월23일,

두 개의 자유당이 창당되었다.

국회 내부에서 국회의원 중심으로 조직된 자유당은 ‘원내 자유당’이라고 불렸으며

국회 외부에서 대중 단체를 기반으로 조직된 자유당은 ‘원외 자유당’이라고 불렸는데,

원래 통일 노농당이라는 이름으로 신당을 추진하던 원외 세력이 원내 세력과의 합동을 위해 당명을 자유당으로 바꾼 결과였다.

하지만 결국 합동은 성사되지 않았다.


원내 자유당은 내각 책임제 개헌안을 추진해 이승만 정권의 반대 세력이 되었다.

원외 자유당은 이승만을 당수로 이범석을 부당수로 선출했으며 국민회,대한 노동 총연맹,

대한 농민총연맹과 같은 대중 단체 간부들이 원외 자유당 간부진을 구성하였고,

1952년3월에 본격적인 체제 정비에 들어갔는데,

이때 당내 최대 세력을 형성한 것이 이범석을 중심으로 한 족청계였다.

1952년5월,

이승만은 임시 수도 부산에 계엄을 선포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강행했으며 그때 족청계를

중심으로 한 원외 자유당도 중심적인 역할을 했는데,

1952년7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개최된 원외 자유당 전당 대의원 대회에 이승만은 메시지를 보내

당수.부당수제를 없앨 것과 자유당에서 자신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 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이는 부당수인 이범석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이승만이 원외 자유당 및 이범석과 거리를 둔 결과

원외 자유당에서 부통령 후보로 출마한 이범석은 낙선하게 되었다.

이것을 계기로 원외 자유당은 내분에 휩싸이게 되었는데,

1952년9월18일,

원내외 자유당이 합동함으로써 반족청계 세력의 힘이 강해지는 가운데

1952년9월6일,

전당 대의원 대회에서 이승만의 지시에 따라 당수.부당수제가 총재제로 바뀌었으며,

이튿날에 열린 중앙 집행위원회에서 당 지도부가 중앙 집행위원회 체제에서 각 단체 대표로 구성되는 중앙위원회 체제로 개편할 것이 결정되었다.

이와 같은 공세에 족청계가 반격을 가하기도 했지만 결국 이승만의 지시로

1953년12월,

이범석을 비롯한 족청계 인사들이 자유당에서 제명되었으며,

새로 총무 부장이자 수석중앙위원으로 선출된 이기붕이 자유당의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1956년,

이기붕은 당내에서 주류파를 형성하여 정.부통령 선거에서 이기붕이 낙선하자 대중 단체를 기반으로 한 비주류파의 공세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이승만의 개입으로 주류파는 이 위기를 넘겼으며,

1957년,

당헌을 개정해 당의 실질적 운영 기구로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당무 위원회를 신설해

주류파가 권을 완전히 독점하게 되었다.

당무 위원회를 통해 이기붕은 친일 관료 출신들과 기업가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함으로써

자유당의 인적 재편을 꾀했다.

자유당 내부는 강경파와 온건파의 대립 등 파벌 대립이 끊이지 않았으나 이승만의 권위를

배경으로한 이기붕의 지도 아래 행동 통일이 이루어졌다.

1960년,

정·부통령 선거에서 자유당은 이기붕을 당선시키기 위해 대대적인 부정 선거를 저질렀다.

부정 선거로 인해 4·19혁명이 일어나자 이승만은 자유당 총재를 사임했으며,

이기붕 역시 당 중앙 위원회 의장을 사임했다.

또 다른 자유당 간부들도 국회 의원직을 사임하거나 구속 또는 해외 도피가 잇따라 자유당은 실질적으로 해체되기에 이르렀다. 그 뒤 명목상으로만 존속하다가

1961년5월23일,

모든 정당,사회 단체의 해산을 명령한 국가 재건 최고회의 포고 제6호로 해산되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