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관파천과 이범진        작성일자; 2019.08.19.목요일,맑음

 

1894년 조선은 갑오개혁이 일어 나자 청에 원군을 요청했고,

침략의 기회를 엿보던 일본은 톈진 조약(1858년 제2차 아편전쟁)을 근거로 조선에 침입했다.

갑오 농민 전쟁이 진정된 후 청,일 양군의 철병을 요구했으나 일본은 거부했다.

일본은 경복궁을 점령하고 친일정권을 수립했으며 7월 25일 청군을 공격했다.

일본군이 평양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후 청군은 후퇴했다.

이후 일본은 조선 내정에 적극 간섭했으며 이에 농민 봉기가 일어 났으나 우금치에서 일본에게 패했다.

황해 해전에서 청군을 격파한 일본군은 진저우성과 뤼순을 점령했다.

청은 전쟁에 참패했고 1895년4월17일 일본과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었다.

청일 전쟁 이후 일본은 자본 주의의 급속한 발전을 이룩한 반면,

조선과 중국은 일본 및 열강의 수탈 대상 및 분할 경쟁의 대상국이 되었다.

 

청일 전쟁 승리로 조선에 대한 우월권을 확보한 일본은

중국으로부터 랴오둥 반도를 할양받는 등 대륙 침략의 발판을 마련했다.

그러자 일본의 독주를 우려한 러시아는 랴오둥 반도를 반환하게 했다.

 

러시아 공사 베베르는 민비 세력에게 친러 정책을 권유했다.

이에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는 1895년8월20일 을미사변(민비 살해사건)을 일으켰으며,

일본의 민비 학살과 단발령은 반일 감정을 폭발시켜 전국적인 의병 봉기가 일어났다.

민비가 시해된 후 친미,친러 세력은 고종에게 안전을 위해 잠시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길 것을 종용했다.

 

1896년2월11일 새벽,고종은 극비리에 러시아 공사관으로 파천했다.

아관파천을 계기로 친러파가 정권을 장악하고 전제 왕권이 다시 강화되었다.

이를 계기로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계속된 친일 개화파 정권이 무너지고 친러파가 정권을 장악했다.

일본은 청일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조선에 대한 우월권을 확보하고,

중국으로부터 랴오둥[遼東] 반도를 할양받는 등 대륙침략의 발판을 마련했다.

그러자 1860년대 이후 끊임없이 남하정책을 펴면서 조선 내에도 친러세력을 부식하려 했던 러시아는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독주를 우려하여 프랑스·독일과 함께 '삼국간섭'으로 랴오둥 반도를 반환하게 했다.

이러한 러시아의 영향력에 자극받아 조선의 왕실 및 일부 정치세력 내에서는 배일친러적 경향이 싹트게 되었다. 그

동안 친일개화파 정권에 의해 눌려 있던 민비를 비롯한 척족세력과 구미공사관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친미적·친러적 경향을 보이고 있던 정동파 인사들이 득세하기 시작했다.

이때 러시아 공사 K. 베베르[韋貝]는 미국공사와 함께 민비세력에 접근하여 친러정책 실시를 권유했다.

이에 새로 부임한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는

1895년 8월 20일 일본인 낭인과 훈련대를 경복궁에 침입시켜 민비를 학살하는 을미사변을 일으킴으로써

일본세력을 만회하고자 했다.

그리고 친일 개화파 내각은 단발령의 실시를 비롯한 급진적인 개혁사업을 재개했다.

그러나 민비학살과 단발령은 조선민들의 반일감정을 폭발시켜 전국적인 의병봉기가 일어났다.

민비가 경복궁에서 학살되고 난 후 고종은 신변에 위협을 느끼게 되었으며,

이를 기화로 친미·친러 세력은 고종을 궁궐 밖으로 데려가 자신들이 중심이 된 새 정권을 세우고자 했다.

                                      

1895년 10월 12일 '춘생문사건'은 친러세력이었던 이범진 등이

춘생문으로 입궐하여 고종을 데려오려는 계획이었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범진은 또다시 러시아 공사 베베르와 그당시 친미파였던 이완용·이윤용 등과 모의하여 고종에게 접근,

왕실의 안전을 위해 잠시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길 것을 종용했다.

고종은 마침내 그들의 계획에 동의하여

1896년 2월 11일 새벽, 왕과 왕세자가 궁녀의 가마를 타고 극비리에 러시아 공사관으로 파천했다.

파천 직후 고종의 명령으로 개화내각의 총리 대신 김홍집과 농상공부 대신 정병하가 참형되었고,

내부대신 유길준을 비롯한 10여 명의 고관은 일본 군영으로 도피하여 일본으로 망명했다.

탁지부 대신 어윤중은 도망가던 중 백성들에게 살해되었고, 외부대신 김윤식은 제주도에 유배되었다.

이와 같이 친일정권이 무너지자 은신중이던 친미·친러파 인물들이 대거 등용되어 내각을 구성했다.

친러내각은 친일내각이 실시한 갑오·을미 개혁사업을 중단하고

내각은 의정부로 환원되어 한동안 약화되었던 전제왕권이 다시 강화되었다.

그리고 러시아의 영향력이 강화되어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 머무르는 동안

조선 정부의 인사와 정책은 러시아 공사와 친러파에 의해 좌우되었다.

이 파천은 기본적으로 청일전쟁 이후 동아시아에서 패권을 차지하려 한 일본과

이를 저지하려는 러시아 간의 세력다툼의 결과였다.

1897년 2월 20일 고종이 다시 환궁하기까지 러시아 공사관에 머무르던 1년 동안

러시아를 선두로 한 구미 열강은 왕실을 보호해준다는 대가로 각종 경제적 이권들을 약탈해갔다.

 

이범진       

러시아를 도와 아관파천 일으켜 친일정권을 무너뜨리고 친러내각을 조직했다.

한일합병이 체결되자 권총으로 자결했다.

1879년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1887년 협판내무부사가 되었다.

일본세력의 침투에 맞서 미국 및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95년 10월 친일정권을 타도하여 새 정권을 세우려던 춘생문사건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자 상하이로 망명했다.

이듬해 비밀리에 귀국, 러시아 공사 베베르 및 이완용 등과 함께 아관파천을 일으켰다.

친러내각이 들어서자 법부대신 겸 경무사가 되었다.

 1897년 주미공사가 되고,

1900년 주러공사로 독일·오스트리아·프랑스 공사를 겸했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된 뒤 일제가 소환하자 이에 불응하고

황제의 밀사 명목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머물면서 국권회복에 힘썼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삼(聖三). 아버지는 경하이고, 범윤(範允)의 형이다.

1879년(고종 16)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1887년 협판내무부사가 되었다.

일본세력의 침투에 맞서 미국 및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민비가 친러정책을 표방하게 되자 농상공부대신이 되었다.

1895년 7월 궁내부대신서리가 되었으나 8월 20일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파면되었다.

그해 10월 친일정권에 포위되어 있던 고종을 궁궐 밖으로 피신시키고

친일정권을 타도하여 새 정권을 세우려던 춘생문 사건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자 러시아 공사의 주선으로 상하이로 망명했다.

이듬해 비밀리에 귀국, 러시아 공사 베베르 및 이완용 등과 함께

2월 11일 아관파천을 일으켜 김홍집·유길준 등의 친일정권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내각이 들어서자 법부대신 겸 경무사가 되었다.

1897년 주미공사가 되고, 1900년 주러공사로 독일·오스트리아·프랑스 공사를 겸했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된 뒤 일제가 소환하자

이에 불응하고 황제의 밀사 명목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머물면서 국권회복에 힘썼다.

1907년 6월 고종의 밀사로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파견된 이상설·이준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도착하자

그들과 만나 회의에 보내는 장서(長書:控告詞)를 번역했다.

이때 아들 위종도 밀사의 일원이자 통역관으로 함께 헤이그로 떠났다.

1909년 11월에 있을 만국평화회의에서 다시 활동하기 위해 2번째의 평화회의 밀사파견 운동을 계획하여 중심연락을 맡았다.

1910년 한일합병이 체결되자 권총으로 자결했다.

유언에 따라 그가 교민자제 교육을 위해 기증한 1,000루블은 한민학교를 설립할 때 사용되었다.

1963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