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 모봉~연호산
모봉; 149.8m- 대구 수성구 고모동 산 157-2
연호산; 129.6m- 대구 수성구 연호동 산 34
소개;
모봉과 연호산은 대구 둘레길 15 구간인 모명재길 형제봉과 제봉을 마주 보고
대구와 경산을 잇는 달구벌 대로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부 구간은 대구 둘레길 15구간인
용지 팔현길(용지역-두리마루 숲길(두리봉)-연호역-전우쉼터-팔현마을-수성 패밀리 파크) 과 겸해
산행을 할 수 있는 구간이다.
등산로 입구에는 대성사(1981년 설립)에 이어 두번째 대한 불교 천태종 사찰인 동대사(2008년 설립)와
옥내지와 서당지가 위치하고 있다.
대구둘레길’은 대구 외곽의 산,들,강을 연결해 대구 시민 누구나 쉽게 걸을 수 있게 16개 테마구간으로
총연장 138.6km로 조성 되어 있다.
그 중 용지팔현길은 대구시 용지역에서 수성 패밀리 파크를 경유하는 대구 둘레길 제15구간이다.
산행코스;
옥내지 이정표-모봉-어부바 쉼터-연호산-전우 쉼터-고모로 접속-고모로37길-옥내지 이정표-원점 회귀 산행
산행거리; 약 3.8km
산행시간: 3시간
가는 길;
대구 달서구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 성서점-달구벌 대로-만촌네거리-담티역-대구 구치소/대구 명복공원 방면-좌회전
-동대사-옥내지 이정표
(네비; 대구시 수성구 고모동 706-34번지-13.5km, 35분 소요,통행료 없음)
이미지 보기
동대사를 지나 옥내지와 서당지 사이
우측으로 이정표(고모동230m,모봉440m,연호산 1,620m)에서
산길로 오르면서 시작하는 모봉(149.8m)-연호산(129.6m) -고모역(폐역)으로 이어지는
원점 회귀 산행이다.
주변 도로 공사로 인해 어수선한 등산로 입구다.
산길로 오르막길을 올라 능선에 올라서면
삼거리 갈림길 안내판이 나온다.
동대사(만촌네거리)에서 0.2km 오른 지점으로
모봉(고모역)까지는 0.38km를 올라야 한다.
삼거리 갈림길 안내판을 지나면 우측으로 쉼터 의자를 지나
능선이 보이는 완만한 오르막길을 올라가면
능선에 올라
완만한 내리막길을 내려 안부에 내려
모봉을 100m두고 가파른 오르막길을 오르면 만나는 이정표(동대사 390m,모봉100m)다.
동대사에서 390m 올라온 지점이다.
이정표를 조금 지나 가파른 오르막길을 오르면
좌/우로 산사면길로 우회하는 사거리 갈림길에서
능선으로 로프 구간이 보이는 방향인 모봉 정상 방향으로 오르면
가파른 로프 구간을 오르다 뒤돌아 보면
가파른 내리막길 건너편으로 숲 사이로 형제봉(192.5m)이 조망된다.
모봉 정상 바로 아래 시멘트로 만든 방공호를 지나
금일 산행 중 제일 높은 모봉에 올라 선다.
해발 149.8m의 모봉이다.
정상은 헬기장으로 모봉 표시석도 표시판도 없다.
주위는 나무로 가려 조망이라곤 1도 없다.
모봉 정상은 헬기장으로
좌측과 하산 지점 방향으로
'오빠와 누이가 아웅다웅 만든 봉우리 형제봉' 해설판과 '국가 측량 기준 보호' 안내판이 있다.
모봉에서 연호산으로 가는 등산로는
'오빠와 누이가 아웅다웅 만든 봉우리 형제봉' 해설판과 '국가 측량 기준 보호' 안내판 사이로
방공호 사이로
모봉에서 70m 완만한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이정표/정자/쉼터 의자가 있는 어부바 쉼터에 도착한다.
이 곳은 모봉에서 70m 내림길을 내려선 지점으로
전우쉼터(1.13km)와 고모역(2.13km)으로 가는 중간 등산로다,
이정표 뒷쪽으로
오른쪽으로 보이는 널찍한 임도길은 만촌동 명복 공원으로 하산하는 길이다.
이정표에서 좌측인 전우쉼터/고모역 방향으로
완만한 내리막길을 내려서면
능선 갈림길에서 직진하여
이정표(전우쉼터900m,고모역1.9km)를 지나면
묘소에 도착 한 후
완만한 능선을 따라 오르면
울타리를 따라가
무명봉에 올라
잠시 내리막길을 내렸다
오르막 매트길을 따라 연호산 정상 방향으로 오르면
매트길을 따라 산사면길로 가는 우회길과 연호산 정상으로 오르는 갈림길에서
연호산 정상으로 직진하여 오르막길로 올라가면
연호산 정상 가기 전 몇 발자국 아래 좌측으로 아래 갈림길에서 산사면길과 만나는 갈림길이 나온다.
정상 후 다시 이 곳으로 되돌아 좌측으로 내려가야 한다.
금일 주봉인 해발 129.6m의 연호산에 도착한다.
연호산 주변은 나무로 가려 조망은 볼 수 없다.
입석 위 연호산 표시 만이 있을 뿐이다.
동영상
삼거리 갈림길로 되돌아와 우측으로
가파른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방공호를 건너는 썩은 나무를 밟고 지나
우회길과 만나
산사면길을 지나
능선에 올라서면 쉼터 의자를 만나 지나면
앞으로 보이는 봉우리를 바라보면서
완만한 능선길을 따라가 오르막 능선으로 오르면
이정표(고모역 1.33km,전우쉼터 350m)를 지나 전우 쉼터 방향으로
무명봉에 올라
안부에 내려서면 삼거리 갈림길 이정표(전우쉼터 0.23km,연지못0.4km)를 만난다.
'대구 둘레길-용지팔현길 15번' 지점으로 이 곳에서 용지 팔현길이 시작하는 분기점이다.
우측은 연지못(연호역) 방향이며,
직진하여 전우 쉼터 방향으로 완만한 능선길을 따라 오르면
우측으로 임도 수준의 묘소로 가는 갈림길을 지나
무명봉에 오르면 전우쉼터에 도착한다.
전우쉼터에는 정자와 이정표(연지못 0.6km,고모역1.0km),참호가 위치하고 있다.
물론 '대구 둘레길-용지판현길15번' 구간이기도 하다.
들머리에서 약 1.7km 거리다.
전우 쉼터를 지나고 나면 본격적인 하산으로 접어든다.
이 곳에서 옹심이 칼국수까지-즉 고모로 접속까지 1.3km 거리다.
내리막길에 짤막한 계단을 내려
좌/우 어디로 가던 만나는 삼거리 갈림길을 지나
좌측으로 휘어져 가는 내리막 능선길을 내려가면
비석 묘소 우측으로 내리막길로 이어지고
능선길과 산사면길 갈림길에서
산사면으로 내려가면
이정표(모봉1.7km,전우쉼터 700m,고모역 500m) 지점에서
좌측 능선으로 가면 하산 지점에서 곤란을 겪는다 하여 되돌아와
우측 내리막 산사면길로 하산한다.
우측 고모역 방향-옹심이 칼국수 방향으로 산사면길을 내려가면
우측으로 묘소를 지나
울타리 사이를 지나면
옹심이 칼국수 입간판을 지나
고모로에 접속하여
좌측 토담 입간판이 보이는 고모로를 따라가면
토담 입간판 앞 이정표(모봉1.9km,전우쉼터 750m-고모역230m))를 지나면
고모역 가기 전 이정표(전우쉼터 0.9km,고모건강쉼터1.5km)에서
고모건강쉼터1.5km 방향인 좌측으로 고모동 경로당을 지나
막다른 길 우측으로 방향을 돌리면 밀러 아래 이정표(전우쉼터 1.1km,고모건강쉼터1.3km)를 만나
고모 건강쉼터 방향으로
고모동 39길을 따라 가면
마을을 지나
급커브 주의판을 지나
형제봉이 보이는 방향으로 시멘트길을 따라가면
좌측으로 모봉 정상부가 보이고
'용지팔현길-고모건강쉼터'로 가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들어가면
이정표를 만나 좌측 산길로 오르면 '용지팔현길-고모건강쉼터로 가는 산 길이 나온다.
다시 삼거리로 되돌아 나와
서당지와 옥재지 방향으로 시멘트길을 따라가면
서당지 둑방이 보이는 방향으로
서당지에 도착하여
좌측으로 둑길을 따라가
산비탈길에서 우측 서당지를 따라가면
옥내지를 지나
옥내지 입구에 도착하여
옥내지 건너편으로 동대사가 보이는
들머리 이정표에 도착하여 종료하는 모봉-연호산 산행이다.
하산한 옹심이 칼국수 지점에서 이 곳까지 약 1.9 km 거리다.
',·´″″°³ 산행.여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달서구 와룡산 자락길 (0) | 2025.02.16 |
---|---|
대구 달성 와룡산(용미봉~할아버지봉~손자봉~상리봉~와룡산~용두봉) (0) | 2025.02.05 |
경북 칠곡 경북 과학 대학교 등산로(유아숲 체험원-각산리 임도 등산로) (0) | 2025.01.22 |
경북 칠곡 골미산~숲데미산~군바위산 (0) | 2025.01.19 |
경북 경주 양동마을~설창산~안계봉~대미산~성주봉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