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불교 전래

 

고구려에  불교가 처음 전래된  것은  372년(소수림왕 2년)  6월에  

전진(前秦)의  왕  부견이 사신과 함께  승려순도를  파견하여  불상과  불경을 보내왔다.

그로부터  2년  뒤인  374년(소수림왕 4년)에는  승려  아도가  고구려에 왔다.

다음해  375년(소수림왕5년) 2월에 초문사(흥국사)를  지어  아도를 머물게 하고,

이불란사(흥복사)를  지어  순도를  머물게 하였다.

순도는 전진왕  부견의  사신과  함께  왔으므로  북방에서  온 것이 거의 확실하나,

아도에  관하여는  '삼국유사'에서는 진(晉)에서  왔다고  하였으나

,'해동고승전'에서는 오(吳)에서 왔다고도  하고

, 고구려에서 위(魏)에  들어 갔다가 뒷날 신라로  돌아왔다는 설 등이  있어 분명치  않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중국  북방의 불교가  들어 온 것은 372년이지만,

그 이전부터 민간 차원에서의 접촉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순도나  아도가  가지고  왔던  불교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아는 일은 쉽지 않다.

이에 대하여  '해동고승전'에  "인과를 보이고 화복으로 유인하였으나

백성들의 마음이 질박하였기 때문에 그들을  재단할  방법이  없어서 

법사가 비록  쌓인 것이 깊고, 이해의  폭이  넓었으나 널리  펴지는 못하였다"라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고구려에  초전된  불교의 내용이

선악의  행위에 대한  화복의 인과를  밝히는  초보적인  수준으로서 

당시  중국의  북방 불교적인  흐름과 통하고 있었으며 ,

또한  전래  초기에는  그렇게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순도는  전진에서  왔지만, 아도는  진이나  오에서  왔다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

고구려에는  중국의  남방 불교도  동시에  전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순도와  아도 다음으로 나타나는 사람은 백족화상  담시이다.

'해동고승전'에  따르면  그는  396년에 경율  수십  부를  가지고  요동에  와서 

사람들의  근기에  따라 교화하였으며,

삼승을  선양하고  삼귀의와  오계를  세운  뒤  405년에  장안으로  돌아 갔다고  한다.

당시가  후진의  요흥이  다스리던  시대라는 것을  생각할 때 

그가  가지고  온  불교는 북방의 불교였다.

 

불교가  전래된  이후  고국양왕은  391년(고국양왕 8년)  3월,

불교를  드높여  믿어서  복을 구하라는 칙명을 내렸으며,

광개토왕은  394년 (광개토왕 4년)  8월에  평양에  9개소의  사찰을 창건하였다.

'해동고승전'에  의하면 고구려의  대승상  왕고덕이   불교를  전파하기  위하여 

승려  의연을  북제(北齊)로  파견하였으며,

의연은  그곳에서  승려  법상에게  중국에  불교가 들어온  연대와  황제의  이름,

북제와  진에  전한 사람 등에 관하여  질문을 하였으며,

법상은  석가모니의  입멸에서  북제 무평 7년(576년)까지는  1465년이 지났으며,

후한(後漢)의  명제  영평 10년(AD 67)에  불교가  중국에  전래되었다는 것을 

대답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고구려  말엽에  당(唐)으로부터  도교가  전래되면서  차츰  배불정책을 시행했으며,

이에 따라  불교는  쇠퇴하고  승려들은  일본이나  신라로 망명하기에  이르렀다.

고구려  불교의  특징은  국내에서 보다  국외에서  그  성가가  더 높 았다는 데  있다.

고구려의  승려로서 외국에서 가장 이름을 떨친 사람은 승랑이다.

고구려의  요동  사람으로서  북제  말엽에  중국으로 건너가  

삼종론의  기반을  닦은 학승으로서 '섭산고려랑대사'로  불렸다.

북제에서  삼론학을  배운  다음  강남의 종산  초당사에  머물면서  은사  주옹에게  이를  전하였다.

이후 양(梁)  무제  재위  초기에  섭산의  서하사로  갔다.

원래  불교를  숭상하던  양 무제는 승랑이  섭산에  와  있다는 말을  듣고 

승정  지적과  지관사  승전  등 10명에게 그의  밑에서  삼론학을  배우도록  했으나 

오직  승전만  학문을 크게 성취하여  그의  법을  이었다.

승전의  문하에서  법랑을  비롯한  4명의  명승이  배출됨으로써 

승랑의 삼론학은  강남에서  크게 위세를 떨치게  되었으며,

가상대사  길장 은  법랑의  법을  이어  마침내  삼론학의  대성을  보게  되었다.

또한  중국  불교사의  위치로 볼 때  성실종으로부터 

삼론종을  분리하기 위하여 노력함으로써

진정한  삼론종을  성립시킨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승랑이  중국에서  삼론종을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기반을  제공하였다면,

일본  삼론종을  가능하게  하였던  사람은  고구려  승려인  혜관이었다.

일본 불교의 시조로써  625년 1월에  일본으로  건너 갔으며,

그해  여름에  크게  가뭄이  들자  왕명으로  기우제를  행하여  효험을  보임에  따라 

승정으로 임명되었다.

삼론종의  대성자인  길장에게서  삼론을  사사하여  이를  일본에  전하였으며,

정상사를 세우고 삼론을 강의하여 복량,지장,도등,혜사 등의 제자를 배출하였다.

특히  혜사는  고구려에서  수학하고  다시  중국으로  들어가 

길장에게서  삼론학을  배웠으며,

흥복사의  행선  역시  고구려에  머물면서  불교를  배웠다고 하는  사실로부터 

고구려의  불교 교학이 일본 불교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혜관 보다  앞서서  일본에  불교를  전했던 이는  고구려  승려  혜편이었으며,

혜자는  595년  일본으로  건너가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602년에는  승륭과  운총이  고구려에서  왔다.일본에  불교 문화를  전달하는 데 

크게  기여한  사람은  호류 사의  금당벽화 남긴 고구려  승려  담징이다.

610년  일본으로 건너가  불교  이외에  유교에도 밝았으며, 공예·맷돌·그림의 거장이었다.

본에서는  그를  스승으로  삼아  그림을  배웠으며,

그를  통하여 일본에서는 비로소 예술다운 예술에 눈을 떴다고  할 수 있다.

그밖에  혜량은  신라에  들어가  초대  국통이 되었으며, 보덕은  백제에  들어가  열반종을  열었다.

 

',·´″″°³ 역사.인물.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제 불교 전래  (0) 2020.05.13
백제 고구려 공격  (0) 2020.05.13
가락국 건국  (0) 2020.05.13
백제의 건국  (0) 2020.05.13
고구려의 건국  (0) 2020.05.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