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달성 까치봉
해발; 299m
위치; 대구 직할시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
소개;
소나무와 아까시아 향기가 가득한 가족 산행지로 소문난 까치봉은 ,
산행 장비를 갖추지 않더라도 누구라도 간편하게 오를수 있는 산책로 수준의 산이다.
왕복 2시간 남짓하면 가능한 산행은 주민들이 운동 삼아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10~20분 단위로 쉼터가 곳곳에 마련되어 있어 무리하지 않게 쉽게 오를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곳 까치봉에서 용문산을 거처 비슬산까지 종주하는 구간의 시발점이기도하다.
산행일시; 2017.02.17.화요일,맑음
산행코스;
명곡 4단지 406동 입구-비슬산 등산 안내도-제1쉼터-제2쉼터-3쉼터-원당지 갈림길 이정표-인흥서원 갈림길 이정표
-4 쉼터-5쉼터(까치봉)-제6쉼터 -조망 바위1-조망터-이정표-삼거리 갈림길 이정표
-이정표-쉼터의자 -쉼터의자 -인흥서원 갈림길 이정표-원당지 갈림길 이정표-제3쉼터-제2쉼터-제1쉼터-비슬산 등산
안내도 -명곡4단지 406동 입구
산행시간; 2시간
가는 길;
대구 성서 홈플러스-신천대로 성서IC-남대구IC 가기전 성서 산업단지-상인네거리-성서4차공단 중소기업청-유천교.
우회전-대구 교도소-대구 달성 화원 면사무소-현풍방면-화원교 좌회전-명곡 미래빌 4단지 406동 비슬산 등산 안내도
(네비;대구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 147번지-14.3km,20분 소요)
이미지보기
▽ 달성 까치봉 산행은 명곡미래빌 4단지 406동 담벼락 '비슬산 등산 안내도' 에서 시작한다.
목계단을 따라 올라서면
▽ 쉼터 의자가 즐비한 널찍한 쉼터에 도착한다.
▽ 쉼터에서 뒤돌아 본 명곡미래빌 406동
▽ 쉼터를 지나면 통나무 계단을 올라 능선에 올라서면
▽ 텃밭을 만나 지나
▽ 텃밭 끝 지점에 묘소를 지나면
▽ 너덜겅 오름길에 만난 묘소다.
▽ 묘소를 지나 나덜겅길과 목계단을 올라
▽ 능선에 올라서면
▽ 제1쉼터에 도착한다.
▽ 제1쉼터는 들머리인 명곡미래빌 4단지에서 0.5km 지점이다.
최종 목적지인 까치봉까지는 2.3km다.
▽ 제1쉼터를 지나면 평지와 가까운 내리막길을 내려서면
▽ 산비탈길을 따라가는 등산로다.
▽ 평탄한 등산로를 따라가면
▽ 함박골(0.3km) 갈림길 이정표에 도착한다.
까치봉까지는 1.8km 남은 거리다.
▽ 화원 천내리 방향이 조망된다.
▽ 녹색 울타리를 지나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 로프 구간을 내려간다.
▽ 이정표와 체육시설과 정자가 있는 제2쉼터다.
▽ 제2쉼터 끝 지점에 위치한 정자 쉼터르 지나면
▽ 제2 쉼터 끝부분에 위치한 정자를 지나면 이정표 없는 삼거리 갈림길 나온다.
우측길은 명곡1리 함박산 방향으로 가는 길이며,
좌측길은 까치봉으로 가는 등산로다.
▽ 대리석으로 만든 등산로와 함께 나란이 가는 등산로다.
▽ 무수한 쉼터의자가 있는 제3쉼터에 도착한다.
제2쉼터에서 0.5km 지점이다.
까치봉까지는 1.2km 남은 지점이다.
▽ 제3쉼터를 지나 묘소를 지난다.
▽ 원당지(0.3km) 삼거리 갈림길 이정표( 인흥서원 1.0km,까치봉1.0km) 지점을 지나면
▽ 원당지 삼거리 갈림길에서 0.2km 가면
이정표 좌측으로 인흥서원(0.8km) 방향으로 하산하는 삼거리 갈림길이 나온다.
▽ 이 곳에서 50 여m 가면 이정표 없는 삼거리에 도착한다.
직진하면 제4 쉼터를 지나 까치봉인 제5 쉼터를 지나 제6 쉼터로 가는 길이며,
우측은 제6쉼터를 지나 이정표에서 우측으로 하여 전망바위를 지나 이 곳으로 오는 등산로다.
▽ 달성군 보호수 반송을 지나면
▽ 너덜겅길을 올라서면 묘소가 나온다.
묘소 뒤를 따라 우측으로 휘어져 오르면
▽ 쉼터가 나온다.
▽ 쉼터 끝편에 좌측으로 하산하는 인흥서원(1.62km) 갈림길 이정표가 나온다.
까치봉까지는 0.5km 남은 지점이다.
인흥서원은 1866년(고종3년)에 추황(1198∼1259),추적(1246~1317),추유(345∼1404),추수경(1530∼1600) 등
추계 추씨 4현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으로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1938년에 복원하여
매년 음력 3월 중정일과 10월3일에 춘추 향사를 봉행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추황은 1213년(고려 고종 2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대제학 역임하였고 저서로 '조의혼상제례(朝儀喪祭禮)'가
있었으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추적은 충렬왕 초 과거에 급제하여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으나 충렬왕 말년 안향(安珦)에게 발탁되어 7품
이하의 관리와 생원들의 유학교육을 담당하고 '명심보감'을 편찬하였다.
추유는 1362년(공민왕11년)에 성균시에 급제하여 호부상서를 역임하였다.
추수경은 중국 오현군 출신인데 임진왜란 때 곽산,동래 등지에서 많은 전공을 세우고 전주에서 전사하였다.
완산부원군에 추봉되어 후손들이 본관을 전주로 삼았다.
▽ 인흥서원 갈림길을 지나면 까치봉으로 가는 가장 난 코스인 급경사 코스를 오르게 된다.
이 코스를 오르면 제4쉼터에 도착한다.
돌탑과
▽ 가파른 목계단을 올라서면
▽ 송전탑을 만나 다시 오르막 등산로를 올라서면
▽ 하늘이 보이는 봉우리에 올라서면
▽ 제4쉼터다.
까치봉까지는 0.3km 남은 지점이다.
▽ 제4쉼터를 지나 송전탑이 보이는 방향으로 평탄한 등산로를 가다
▽ 끝지점에서 약간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 쉼터 정자가 보이는데 금일 목적지인 해발 299m의 까치봉 정상이다.
▽ 정상에는 이정표(제4쉼터 0.3km,제6쉼터 0.2km)와 정상석,쉼터 정자가 있다.
▽ 정상에는 동쪽으로 조망이 있다.
청룡산 정상부와 삼필봉에서 작봉으로 오르는 능선이 조망된다.
▽ 비슬산 종주길인 용문산과 닭지만당산이 조망되기도 한다.
▽ 정상에서 되돌아 원점으로 가나 6쉼터를 지나 우측으로 암석 지대로 가기위해 용문산이 보이는 방향으로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 다시 오르막길을 오르면
▽ 통나무 계단을 올라가면
▽ 까치봉에서 0.2km 지점인 제6쉼터에 도착한다.
▽ 기내미재로 가는 임도까지 0.3km 다.
▽ 제6쉼터를 지나 다시 내리막길을 내려서면
쉼터 가기 전 우측으로 나무에 '녹색길'표시판이 걸린 방향으로 간다.
▽ 매트길이 깔린 산비탈길을 따라가면
▽ 좌측으로 등산로를 벗어나 묘소 방향으로 잠깐 내려서서 바라보면 비슬산으로 가는 종주길관문인
용문산이 조망된다.
▽ 묘소로 되돌아 와 다시 산비탈길을 가면 등산로를 벗어나 좌측으로 조망터가 나온다.
▽ 조망터에서 보면 비슬산으로 가는 용문산과 함박산 정상부가 조망된다.
▽ 조망터를 지나 다시 매트길이 깔린 산비탈길을 따라가면
▽ 좌측으로 암벽 구간이 보인다.
▽ 두번째 조망터에 올라서서 바라보면 조금전 조망터에서 본 조망과 같다.
▽ 다른것은 진행 방향으로 보이는 암벽이다.
▽ 다시 산비탈길을 따라 가면 암벽 위 조망바위 위에 올라선다.
▽ 조망바위
▽ 우측의 암석
▽ 조망 바위를 지나 비슬 둘레길 1-12번' 지점을 지나 산비탈길을 따라가면
▽ 계류를 지나
▽ 이정표를 만나 인흥서원(1.54km) 방향으로 70m 가면
▽ 이정표(인흥서원 1.47m)를 만난다.
이정표를 지나면 등산로에 위치한 비석 앞을 지나
▽ 두 개의 돌탑을 지나면
▽ 계류를 만나 건너면
▽ 인흥서원 삼거리 갈림길 이정표 가기 전 이정표 없는 삼거리 갈림길에 도착한다.
우측은 달성군 보호수인 반송으로 하여 제4쉼터,제5쉼터인 까치봉으로 가는 길이며
▽ 좌측으로 가면 인흥서원 삼거리 갈림길 이정표 지점이다.
▽ 인흥서원 삼거리 갈림길 이정표에서 좌측으로 명곡 미래빌 1.9km 방향으로 간다.
여기서 부터는 명곡미래빌 아파트까지 올라왔던 코스다.
▽ 원당지 삼거리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 매트가 깔린 등산로 옆 묘소를 지나
▽ 제3쉼터를 지나면
▽ 제2쉼터
▽ 함박골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 제1쉼터를 지나
▽ 능선에서
▽ 묘소로 가는 가파른 내리막길을 내려서면
▽ 텃밭을 만나 지나면
▽ 로프 구간 내리막길이다.
▽ 이어 목게단을 내려서면 명곡미래빌4단지 들머리인 '비슬산 등산 안내도'에 도착하여 산행을 종료한다.
',·´″″°³ 산행.여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동구 향산 (0) | 2017.02.17 |
---|---|
○ 경남 고성 연화산/170214 (0) | 2017.02.14 |
대구 동구 응봉 (0) | 2017.02.05 |
경북 경산 갓바위(뒷갓바위) (0) | 2017.02.05 |
전남 순천 조계산 장군봉 (0) | 2017.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