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 부석사~선비촌~소수서원
탐방일시; 2017.04.17.월요일.비
탐방장소; 경북 영주 부석사-선비촌-소수서원
□ 영주 부석사;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16년(676년) 왕명으로 의상대사가 창건한 화엄 종찰로서
의상대사와 선묘낭자의 애틋한 창건 설화를 간직한
이름의 유래가 된 ‘뜬 돌(浮石;부석)’이 무량수전 서쪽 뒷편에 남아 있다.
중요 문화재로는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 건물인 무량수전(국보제18호)과 조사당(국보 19호),
소조아미 타여래좌상(국보 45호),조사당 벽화(국보 46호),석등(국보 17호), 3층 석탑(보물 249호),
영주 북지리의 석조여래좌상(보물 220호),당간지주(보물 255호), 원융 국사비(경북 유형문화재 127호) 등
국보급 유물과 보물을 간직하고 있다.
국보 제18호인 부석사 무량수전은 고려시대 목조 건물로서
내부에 무량수불(無量壽佛: 무한한 수명을지닌 부처)인 아미타불(국보 제45호)을 봉안하고 있다.
공민왕이 홍건적의 침입 때 안동으로 피난 왔다가 귀경길에 부석사에 들러 썼다는 정면 가운데 걸린 편액이다.
가는 길;
대구 성서 홈플러스-신천대로-서대구IC-금호JC-중앙고속도로 풍기IC.봉화(풍기)방면-931번 지방도
-영주 봉현 농공단지-순흥 교차로.부석 방면-부석 회전 교차로-순흥 면사무소-소수서원 주차장
-선비촌 주차장-부석사 주차장
(네비;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287-3번지-153km, 1시간50분 소요,통행료 6.400원)
이미지 보기
부석사 관광은 부석사 관광 안내소 옆 부석사 주차장에서 시작한다.
주차장을 빠져 나와
상가를 지나면
기념품 상가 앞 '부석사 가는 길 500m' 안내판을 따라 불록길을 따라가면
산모퉁이를 돌아 노점 상가를 지나면
돌계단과 우측으로 평탄한 길 삼거리에서 돌계단을 올라가면
안내도 앞을 지나
주차장에서 약 300m 거리인 매표소에 도착한다.
매표 후 매표소를 지나
일주문이 보이는 오르막 시멘트길을 따라 약 100m여 m 오르면
부석사 일주문에 도착한다.
일주문 아래를 지나
비포장길을 따라 오르면
당간지주를 지난다.
보물 제255호로 지정된 당간 지주는 부석사 창건 당시 신라 시대의 유물로
절의 위치를 알리는 조형물로 절에서 행사가 있을때 당이라는 깃발을 높이 달았는데,
당간 지주는 깃발을 매달 던 깃대를 고정 시키는 돌기둥 이라 한다.
천왕문에 도착한다.
일주문에서 약 250m 비포장 오르막길이다.
천왕문은 사천왕을 모시는 곳으로 사천왕상이 있다.
천왕문을 지나 돌계단길을 여러분 오르면
회전문에 도착한다.
회전문을 지나면 아름다운 부석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회전문을 지나 바로 보이는 범종각으로 오르면
좌측 삼층석탑과
우측 삼층 석탑이 보이고
범종루 아래를 지나면
안양루가 보이고
안양루 우측으로 응향각이 보이고
안양문 아래를 지나 돌계단을 오르면
무량수전 앞 석등이 위치한 뜰에 도착한다.
무량수전 앞 팔각 석등은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국보 제7호로 지정되어 있다.
무량 수전에 도착한다.
무량수전은 무량수전의 중신 당우로 부석사의 주불인 아미타불이 봉안되어 있는 곳으로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목조 건물로 국보 제 18호로 지정되어 있다.
무량 수전 외부의 모습과 내부 모습이다.
무량 수전을 종착점으로 왔던 길로 되돌아간다.
석등 앞을 지나 안양루 아래 안양문을 지나
사천문 아래를 지나
내리막 비포장길을 내려가
일주문 아래를 지나
시멘트길을 내려가면
매표소와
안내도를 지나면
기념품점을 지나면 주차장에 도착하여 종료하는 부석사 탐방이다.
영주 부석사 탐방 후 13km 떨어진 선비촌과 소수서원으로 향한다.
□ 선비촌과 소수서원
선비촌은 옛선비 정신을 계승하고,전통 문화를 재조명하여
윤리 도덕의 붕괴와 인간성 상실의 괴리 현상을 체험을 통하여 해소 시키고자 충효의 현장에 재현하게 된 것이다.
또한,소수서원은 우리 나라 최초의 사액 서원으로 조선 중종 37년(1542년) ,
풍기 군수 주세붕이 고려 말의 유학자이며 최초의 성리학자이신 회헌 안향 선생이 태어나 자란 이 곳에서
그 분을 기리고자 백운동 서원을 건립 한에서 비롯되었다.
그 후 최계 이황 선생이 풍기기 군수로 부임하여 조정에 건의,소수서원이란 사액을 받게 되었다.
사액 성원은 임금님으로 부터 책,토지,노비를 하사 받고 면역의 특권을 가진 서원을 일컫는다.
이러한 문화 유산의 체계적인 관리로 설립된 유교 전문 박물관이 5개의 전시실과 수장고,시청각실을 갖추고 있는
소수 박물관이다.
가는 길;
영주 부석사-풍기 방면-소천 사거리/풍기,단양 방면-순흥 방면-옥대 삼거리/풍기 방면- 영주 선비촌 대형 주차장
(네비;경북 영주시 순흥면 청구리 420-4번지-13km,16분 소요,통행료 없음)
이미지 보기
주차장 앞 영주 선비상을 바라보면서 시작하는 선비촌(경북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과
연계하여 탐방하는 소수서원이다.
주차장에서 주차 후
영주 선비촌 안내도를 지나
죽계루를 지나면
관광 안내 봉사실을 지나
저작 거리를 지나면
매표소에 도착한다.
영주 선비촌 입장료를 구매하면 소수서원과 함께 두 곳을 관람 할수 있다.
매표 후 매표소를 지나면
바로 우측으로 관람 동선 안내판이 나온다.
좌측으로 옥계교가 보이는 방향으로 열부각과 충복각을 볼 수 있다.
앞을 지나
옥계교를 건너
좌측으로 영주 선비촌으로 들어가는 들머리가 나온다.
관람 안내판이 보이는 지점에서 우측으로 선비촌 종가집을 지나 청화루에서 좌측으로 선비촌을 탐방 후.....
옥계교로 되돌아 나와
직진하면 영주시 청소년 수련원 방향으로
소수 박물관 입석이 보이는 방향으로 시멘트길을 벗어나 우측으로 소수 박물관 방향으로 가면
소수 박물관 입석을 지나
소수 서원 박물관에 도착한다.
박물관 입구 안내도.
소수서원 박물관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만나는 '죽계 제월교' 비다.
이 비는 소수서원을 휘감아 도은 죽계천 위에 놓인 다리의 비석으로
다리 옆 도로변에 세워져 있던 영주 지역의 귀중한 금석문 자료이다.
다리의 이름은 퇴계 이황이 명명한 것인데 송사 주돈이 전에 나오는 '광풍계월'이라는 구절에서 따왔다고 한다.
비의 앞면에는 '주계계월교"라는 다리 이름과 '숙종36년,1710년'이라는 건립 연대가 세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세운 사람의 이름이 있다.
일명 '청다리'라고도 불리는 이 다리는 '청다리 밑에서 아이를 주워 왔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어 더욱 유명하다.
내부로 들러가면 제1전시실,
기획 전시실의 묵향을 남긴 영주 선비 석당 김종직(1901~1985)의 전시실이 마련되어 있다.
고인돌
사명대사 중수기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인 정도전의 글을 엮어 간행한 삼봉집1편도 있다.
선비촌을 떠나 소수 서원으로 향한다.
□ 소수서원(紹修書院);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대한민국 사적 제55호(1963년1월21일)로 지정된 한국 최초의 사액서원이다.
소수서원이 위치한 자리는 원래 숙수사라는 사찰터로,서원 입구에는 현재까지 4m 높이의 당간지주가
남아있다. 중종 38년(1543년) 풍기군수 주세붕이 평소 자신이 흠모해 왔던 고려의 유학자 안향의 연고
지인 이곳 풍기 땅에 부임한 것을 계기로 그의 향리에 안향의 사당을 세우고,이듬해에는 사당 앞에 향교
건물을 옮겨다 재실을 마련하여 선비들의 배움터로 삼으로며 서원의 형태가 이루어졌다.
주요 건물로는 정문인 사주문,입구의 경렴정(景濂亭;정자),강학당,서원의 기숙사 구실을 한 동·서재,
죽계 건너편 물가의 치한대가 있다.
가는 길; 선비촌-순흥면 방면-소수서원 주차장(네비;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60-1번지-0.6km,1분 소요,통행료 없음)
이미지 보기
다리를 건너
조선시대의 소수서원의 정자인 경렴정을 지나
보호수를 지나면
죽계 건너편 물가의 소수서원의 주요 시설물인 치한대가 있다.
당간지주는 보물 제59호(1963년1월21일 지정)로
남북국 시대(698년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에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의 당간지주이다.
당간지주란?
사찰 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에 행사가 있을 때 이 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깃발을 걸어 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매표소를 지나
소수 서원 주차장에 도착하여 종료하는 선비촌/소수 서원 탐방이다.
',·´″″°³ 산행.여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전남 화순 안양산/170512 (0) | 2017.05.12 |
---|---|
○ 대구 동구 옻골 마을/170509 (0) | 2017.05.09 |
○ 경북 경주 주상절리 파도 소리길/170419 (0) | 2017.04.19 |
○ 경북 영천 만불사/170419 (0) | 2017.04.19 |
○ 경남 창원 장복산/170409 (0) | 2017.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