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올레 팔공산 8코스-수태지 계곡길
위치; 대구시 동구 용수동,신무동 일대
소개; 대구 올레 팔공산 8코스-수태지 계곡길은
동화사 집단 시설 지구에서 팔공산 순환도로를 따라 수태지를 지나 동치골 주차장에서 수태골 계곡을
오르면 부인사 등산로와 만난후 벼락 맞은 나무가 있는 이말재에 이른다.
이말재에서 부인사에 도착 후 팔공산 순환도로를 따라 동치골 주차장을 지나 출발지인 동화사 집단
시설지구까지인데 출발지로 회귀하는 코스다.
이 길은 수태골의 아름다운 경치와 부인사를 돌아보는 코스이고,
3코스 부인사 도보길,7코스 폭포골 가는 길과 연결이 가능하다.
트레킹 일시; 2018.02.02.금요일,맑음
트레킹 코스;
동화사 집단 시설지구-팔공산 순환도로 가로수길-동치골 주차장-오솔길-너럭바위-서봉 등산로 접점
-삼성암지 갈림길 이정표-벼락 맞은 나무-부인사-팔공산 순환도로 가로수길-동치골 주차장-팔공산
순환 도로 가로수길-동화사 집단 시설지구
트레킹 거리; 약 7.1km
트레킹 시간; 2시간30분
가는 길; 대구 성서 홈플러스-신천대로-침산교 U턴-북대구IC 방면-서변 고가차도-연경동(팔공산)방면
-파군재 삼거리.동화사(갓바위)-백암 삼거리.방짜 유기 박물관(동화사 방면)-동화사 집단 시설
지구
(네비; 대구시 동구 용수동 37-1번지-32km,44분 소요)
이미지 보기
△ 대구 팔공산 올레길은 1코스~8코스로 나눈다.
그 중 8코스인 수태지 계곡길을 탐방하기로 하여
그 시발점인 동시에 종착점인 동화사 집단 지구 버스 종점에서 발걸음을 옮긴다.
△ 버스 종점 가기 전
△ 배경을 녹색으로 만든 "대구 올레 팔공산 8코스-수태지 계곡길"이정표
△ 이정표를 따라 수태골 주차장과 부인사 방향으로 오르막 인도를 따라 가면
한국의 경관도로(팔공산 순환도로) 표시판을 만난다.
△ 오르막길을 올라 다시 내리막길을 내려서면
△ 수태골 표시판을 지난다.
수태골 등산로가 있는 주차장으로 가는 표시판이다.
△ 수태골 표시판에서 내리막길을 내려서면 우측으로 동치골 주차장 나온다.
△ 동치골 주차장 입구 이정표
△ 우측으로 동치골 주차장으로 들어서면
△ 대구 올레 현위치 동치골 주차장에서 너럭 바위 까지 8km를 가르키는 이정표를 만나 지나면
△ 좌측으로
△ 대구 올레 8코스 수태지 계곡길 이정표를 만난다.
△ 좌측길로 들어서면
△우측으로 오르는 올레길이 보인다.
△ 낙엽이 무성한 개나리 길을 지나다 우측으로 바라보면
△ 동치골 주차장이 보인다.
△ 대나무 숲길을 지나면
△ 올레길이 이어지고
△ 목계단을 올라서면
△ 다시 사면길이 이어진다.
△ 바위 지대를 지나면
△ 바위 쉼터를 만난다.
△ 바위 쉼터를 지나 경사진 오르막길을 오르면 첫번째 수태지 계곡길 이정표를 만난다.
△ 다시 두번째 수태지 계곡길 이정표를 지나면
△ 우측으로 휘어진 오르막길을 오르면 세번째 수태지 계곡길 안내판을 만난다.
△ 이어 능선에 올라서면
△ 청색과 노란색으로 만들어진 방향 표시판과 통나무 쉼터를 만난다.
통나무 쉼터를 조금 지나면
△ 좌측 능선으로 하여 벼락 맞은 나무 위치로 가는 올레길과
이 곳에서 몇발짝 걸음을 옮기면
△ 우측으로 수태지로 가는 올레길을 만난다.
△ 우측 수태지로 가는 올레길
△ 사거리 갈림길에서 직진하여 사면길을 가면
△ 다시 통나무 쉼터를 만난다.
△ 이어 계곡길이 보이는 사면길을 가면
△ 우측 너럭 바위로 가는 길과 좌측으로 가는 삼거리 갈림길을 만난다.
너럭 바위에 들렀다가 되돌아 와
좌측길로 가야 한다.
△ 얼음으로 뒤덮힌 너럭 바위
△ 너럭 바위 위에서
△ 너럭 바위 위에서 본 모습
△ 너럭 바위에 위치한 이정표
△ 너럭 바위 위에 위치한 이정표
△ 너럭 바위에서 우측 계곡으로 오르는 올레길(무시하고 너럭 바위에서 좌측으로)
△ 너럭 바위에서 되돌아 와 좌측으로 오르는 길을 간다.
△ 과거 집터인 듯한 산죽이 있는 길을 지난다.
△ 너럭 지대를 지나면
△ 우측으로 큰 바위와 쉼터 공간이 있다.
△ 바위 사이를 지나는 올레길을 지난다.
△ 올라가는 사면길이 이어진다.
△ 암벽 아래를 지나
△ 너덜길을 오르면
△ 오르는 길이 이어진다.
△ 산악회 리본을 조금 오르면 삼거리 갈림길에 올라서게 된다.
△ 삼거리 갈림길
△ 우측으로 가면 마당재와 서봉으로 가는 등산로다.
△ 좌측으로 가면 벼락 맞은 나무로 가는 올레길이다.
△ 삼거리에서 벼락 맞은 나무 방향으로 조금가면 좌측으로 가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직진하여 오르면
△ 우측으로 축대가 있는 묘소를 지나면
△ 통나무 다리를 지난다.
△ 이어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 갈림길을 만난다.
△ 올레길 이정표와 "현위치 096-04번"이정표가 있는 삼거리 갈림길
△ 사진에서 우측 아래길은 삼성암지로 가는 길이며,
바로 보이는 길은 조금전 왔던길로 마당재와 서봉으로 가는 길이다.
△ 이정표에서 직진하면
△ 벼락 맞은 나무가 있는 이말재에 도착한다.
△ 벼락 맞은 나무 앞에서
△ 이말재에 위치한 "현위치 096-05번 지점" 이정표
△ 이말재의 벼락 맞은 나무
△ 벼락 맞은 나무
△ 벼락 맞은 나무
△ 벼락 맞은 나무에서 갈림길은 5갈래다.
△ 직진하여 좌측 계곡으로 내려서는 등산로와
직진하여 능선길을 따라 동치골 주차장으로 하산하는 길
△ 우측 능선으로 오르는 등산로는 서봉과 마당재로 가는 길이며,
△ 직진하여 능선으로 동치골 주차장으로 가는 길과
우측 능선으로 올라 서봉과 마당재로 가는 등산로 사이로 내려서는 길은 부인사로 가는 길이다.
부인사 방향으로 내려서면
△ 경사진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 나무에서 좌측으로 내려서는 길과 우측 경사진 곳으로 내려서는 길을 만난다.
어디로 가든 만나는 길이다.
우측길을 택하여 내려선다.
△ 가파른 내리막길을 내려서면
△ 우측으로 가는 길과 좌측으로 난 삼거리 갈림길을 만난다.
조금전 위에서 어디로 가든 만나는 갈림길과 만나는 지점이다.
△ 갈림길의 이정표
△ 위의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하여 내려오는 길
△ 뒤돌아 본 삼거리길
△ 계곡이 보이는 하산길이다
△ 대구 올레 표시판을 지나면
△ 녹색으로 울타리를 둔 텃밭을 만난다.
△ 텃밭을 내려서면 이정표가 있는 시멘트길을 만난다.
△ 이말재인 벼락 맞은 나무에서 0.94km 하산한 지점이다.
부인사까지는 0.2km며,
순환 도로까지는 0.46km 다.
△이정표 지점
△ 이정표에서 우측으로 시멘트길을 내려가면
△ 옹벽과 좌측의 녹색 철조망을 만나 좌측 시멘트 길을 내려서면
△ 녹색 펜스와 우측 부인사 담벼락을 지난다.
△ 담벼락이 끝나는 지점에 위치한
△ 이정표에서
△ 우측 자판기 표시판으로 하여
△ 화장실을 지나면
△ 우측 축대 방향으로 간다.부인사로 가는 길이다.
△ 부인사 경내로 들어 가기전 좌측 순환도로 방향으로 내려다 본다.
△ 우측으로 보호수를 지나서 부인사 경내로 들어간다.
△ 부인사를 탐방 후
△ 부도 앞을 지나
△ 순환도로 방향으로 내려선다.
△ 순환 도로에 도착한다.
△ 부인사 입석과 표지판
△ 입석 맞은편의 안내도와 이정표
현위치에서 서봉까지는 3.8km,이말재까지는 1.4km.
파계사까지는 5.5km,
동화사까지는 3.33km다.
△ 부인사 입구에서 종점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팔공산 순환도로를 따라가면
△ 능선이 보이는 오르막길을 올라간다.
△ 미나리 농원을 지나면
△ 동치골 주차장이다.
동치골 주차장을 지나 언덕에서 내리막길을 내려서면,
수태지 계곡길의 시발점인 동화사 집단 시설지구 버스 종점에 도착하여
대구 올레 팔공산 8코스-수태지 계곡길 탐방은 종료된다.
',·´″″°³ 산행.여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앞산 자락길(달비골 청소년수련관~강당골) (0) | 2018.02.09 |
---|---|
경북 울진 덕구 계곡 트레킹 (0) | 2018.02.07 |
광주시 동구 무등산 토끼등 (0) | 2018.01.16 |
경남 거창 수승대 둘레길~성령산 (0) | 2018.01.10 |
◐ 강원 평창 선자령/180105 (0) | 2018.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