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 자암산

해발; 326m

위치; 경북 안동시 남후면 무릉리 산 82-1

소개;

   안동의 자암산은 경북 안동시 남후면 무릉리,광음리,일직면 원호리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산은 6.25 전쟁 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무명 고지 로도 불리며,

   산 정상에는 3등 삼각점이 있다.

   또한, 광음리의 보현사는 한국 불교 태고종으로 1979년에 건립되었다.

   보현사 입구 근처에는 천연 기념물인 구리 측백 나무 자생지가 있으며,

   이 나무들은 상록 교목이지만 크기가 작아 기형에 가깝다.

   광음리는 넒고 큰 바위가 흩어져 있어 광암이라 불리며,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생태 환경을 관찰하고 체험 할 수 있는 생태공원으로 조성되었다.

산행일시; 2024.06.26.수요일,맑음

산행코스;

   명성 솔빛 요양원 앞 강변 주차장- 명성 솔빛 요양원-봉우리 묘소 갈림길-갈림길(1코스 내려가는길)

  -현위치 안내도-갈림길-봉우리-현위치 안내도-체력 단련장-여시골 갈림길 봉우리-3코스 내려가는 길 갈림길

  -현위치 안내도-자암산 정상-3코스/여시골 갈림길 봉우리-290봉/주차장 방향-묘소(평택임씨)-묘소-돌탑

  -계곡-철다리 입구-보현사-철다리 입구-주차장-보현사 버스 승강장-암산 버스 승강장-지장사-요양원

  -강변 주차장-앞산 폭포-강변 주차장-워점 회귀 산행

산행시간; 3시간30분

가는 길;

   대구시 달서구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 성서점-신천대로-서대구IC-금호JC-중앙고속도로(춘천-금호)

  -남안동IC-안동 방면-암산 유원지 방면-광음교차로/광암교-명성 솔빛 요양원 앞 강변 주차장

   (네비; 경북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1036-1번지-84.7m,58분 소요,통행료 4,100원)

 

 

이미지 보기

자암산 산행 들머리는  명성 솔빛 요양원 앞 강변 주차장에서 시작한다.

 

강변 주차장에 주차 후

명성 솔빛 요양원이 보이는 방향으로 

 

구(舊) 도로를 만나 좌측으로 

 

'안동 미천 생태 하천 생태 축제원 ' 안내판과 

'안동 미천 생태 하천을 소개 합니다' 안내판을 지나

 

우측으로 등산로 입구 안내판과 명성 솔빛 요양원 입석을 따라

요양원 안으로 시멘트길을 오르면

 

요양원 입구 우측으로 전망대가 나온다. 

 

전망대에서 내려다 보면

요양원 입구 앞 정자 뒷편 들머리인 강변 주차장이 보인다.

 

전망대에서 조망 후

요양원 끝 축대가 있는 곳으로 가면

등산로 안내판과 국가 지점번호판이 위치한 곳에서 

좌측으로 산길로 오르는 등산로가 나온다.

 

'멧돼지 출몰 지역' 안내판 옆으로 

가파른 목계단을 올라 

 

가파른 능선길로 오르면

국가지점 번호판과 함께 제1,2,3 코스 안내판이 나온다.

이후 벤치와 국가지점 번호판,고산서원과 안동 구리의 측백나무 자생지' 설명판이 위치한 능선까지

가파른 급경사 오르막길 연속이다.

 

가파른 오르막 능선길을 오른다.

 

 

가파른 능선길에 미완성 돌탑을 지나

 

벤치를 지나 

 

'안동시 상징물' 안내판과 국가지점 번호판을 지나면 

 

능선에 올라 우측으로

 

가파른 오르막길을 오르면

 

안내판과 국가지점 번호판,벤치,고산서원과 안동 구리의 측백나무 자생지' 설명판이 있는 

능선에 올라선다.

제1,2,3 코스 안내판에서 이 곳까지 급경사 오르막길이었다.

 

능선의 안내판과 국가지점 번호판과 벤치,

 

고산서원과 안동 구리의 측백나무 자생지' 설명판.

고산서원은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34번지에 있는 서원으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56호로 지정되었다.

  이 서원은 18세기 유학자인 이상정(1710-1781)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789년(정조13)에 사림의 공의로 건립되었다. 

  그는 25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공조참의에 제수 되었으나 사퇴하고

  퇴계의 학통을 계승하여 성리학을 연구하는 한편 후진을 양성하였다'는 내용과

안동 구리의 측백나무 자생지는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산1-1번지에 소재하고 있으며,

  병풍 처럼 둘러선 암산 절벽에서 자라고 있는 300여 그루의 측백나무 자생지로,

  천년 기념물 제252호로 지정되어 있다.

  수령은 100-200년으로 추정되며,자생하는 면적은 4,998m다.

  구리의 측백나무는 바위 틈에서 자라기 때문에 키가 관목 같이 적다.

  이 곳은 우리 나라에서 몇 안 되는 측백나무 자생지의 하나로 식물분포학적 가치가 높다'라는 내용이다.



벤치에서 잠시 쉰 후 평탄한 능선은 

너럭 바위 능선길이다.

 

너럭 바위 능선을 지나면 완만한 오르막길이 이어진다.

 

다시 능선에 올라

 

완만한 능선길을 오르면

 

붉은색 산불 예방 표시기를 지나면 

 

봉우리에 묘소가 있는 첫봉 갈림길을 만난다.

갈림길에서 좌측 우회길로 가야한다.

우측 묘소가 있는 봉우리로 올라가 보니

 

묘소 아래 우측으로 붉은 리본이 보이는 곳에서 하산하는 등산로가 보인다.

다시 갈림길로 되돌아와 

 

다시 갈림길로 되돌아와 

봉우리 우회길로 오르면

 

좌측 내리막길로 하산하는 제1코스(내려가는 길) 갈림길 나온다.

정상 안내판이 나무 아래 떨어져 있다.

직진하여 우회길인 정상으로 가는 길로 가면

 

우측 봉우리 뱡향으로

멧돼지가 파혜쳐 파묘 수준의 묘소가 보인다.

 

우회길로 내리막길을 내려가

 

능선으로 올라

 

완만한 능선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자암산 현위치 안내도를 만난다.

현위치 안내도를 지나면 

 

능선 삼거리 갈림길이 나온다.

주의 해야 할 지점이다.

우측은 봉우리로 가는 길이므로  가서는 안된다.

 

좌측 급경사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봉우리를 우회하여

 

잠시 내렸다

 

하늘이 보이는 널찍한 능선을 지난다.

 

현위치 안내판을 지나면

 

소나무 군락지 사이를 지나면

 

널찍한 공간인 체력 단련장에 도착한다.

 

리본들이 많이 걸린 방향으로 숲속 능선길로 가면

 

평탄한 능선길이 한동안 이어진다.

 

 

안내판(여시골)이 있는 묘소 갈림길에 도착한다.

여시골 방향은 가야 할 내리막길이며,

우측 묘소 뒷편으로 봉우리로 가는 길은 무릉리로 가는 길이다.

 

 

좌측 여시골 방향으로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좌측 내리막길로 제3코스인 보현사로 하산하는 갈림길이 나온다.

 갈림길을 지나 

 

제3코스인 정상 방향으로 완만한 오르막길을 올라가면

 

현위치 안내도를 지나

 

안부에 내려 

 

가파른 오르막길을 오르면

 

안내판이 있는 능선 삼거리 갈림길에서

우측 봉우리로 오르면

 

해발 326m의 자암산 정상에 도착한다.

정상은 사방으로 갈리워져 조망은 없다.

 

조그마하고 아담한 정상석과

 

정상석 뒷편으로 삼각점과 삼각점 안내판이 있으며 뒷편 능선으로 평상이 놓여 있다.

 

평상 앞나무에 걸린 리본과 정상 비닐 안내판.

 

 

동영상

 

하산은 능선 갈림길로 되돌아가

안내판의 제3코스 방향인 우측으로 

 

급경사 내리막길을 내려가

 

오르막길로 오르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우회하는 산사면길을 버리고 능선으로 오르막길을 오르면

 

여시골로 하산하는 봉우리에 오른다.

남후면 관광명소 안내판에서 우측 능선길은 여시골로 하산하는 길이다.

남후면 관광명소 안내판에서 좌측 내리막길은 제3코스로 가는 하산길이다.

제3코스 방향으로 급경사 내리막길을 내려간다. 

 

봉우리의 구조물은

안내판(제3코스 내려가는길)/남후면관광명소 안내판/안내판(여시골 내려가는길) 순이다.

 

산사면으로 오는 우회길과 만나 

 

 

급경사 내리막길을 내려가 안부에서 

 

290m봉으로 가파른 오르막길을 

 

오르면

 

쉼터와 안내판이 위치한 290m봉에 올라선다.

 

290m봉에서

직진하면  무릉리의 무릉 교회로 하산하는 능선길이다.

안내판의 주차장(1.9km) 방향인 좌측 내리막길은 

보현사 아래 철다리로 하산하는 하산로다.

좌측 주차장 방향으로 

 

급경사 내리막길을 내려간다.

급경사길은 보현사 갈림길 임도까지 이어진다.

 

급경사길은 다소 완만람 내리막 능선길로 변하고

 

 좌/우 어디로 가든 만나는 묘소(평택 임씨) 앞 삼거리 갈림길에서

 

묘소 옆을 지나

 

급경사 내리막길에 우측으로 조그마한 미완성 돌탑을 지나

 

민등성이 묘소를 

 

우회하여 내려가면

 

미완성 돌탑,

 

돌탑 지대를 지나면

 

좌측으로 바라보면 

보현사가 있는 안지골 너머로 금일 신행한 능선이 보이고

 

꼬불꼬불한 급경사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등산로 안내판이 위치한 계곡에 내려선다.

 

등산로 안내판에서 계곡을 따라 내려가면

 

계곡의 돌탑을 지나

 

계류의 철다리를 건너면

 

 

보현사로 가는 임도에 도착한다.

'우측 3코스 입구' 안내판을 볼 수 있다.

 

좌측으로 시멘트길을 따라 보현사로 간다.

 

 

 

보현사 입구 제3코스 입구 목다리 앞을 지나

 

보현사에 들어간다.

 

대웅전과 대충전 앞 종무소,

 

돌계단을 올라 좌측으로 가면 삼성각이 위치하는 보현사다.

 

철다리로 되돌아와

시멘트길을 따라 200m 가면

 

주차장에 도착한다.

 

주차장 우측 먼지털이기에 있는 현위치 안내도.

 

주차장에서 보현사 방향으로 바라본 임도길이다.

 

주차장에서 바라보는  암산굴이다.

좌측 뒷편으로 보이는 곳은 겨울이면 얼음축제가 열리는 암산 유원지며,

뒷편으로 보이는 다리는 안동으로 들어가는 광음3교다.

 

 

주차장에서  좌측으로 가면

 

보현사 버스 승강장을 지나

 

지장사가 보이는 방향으로 미천을 따라 가다 뒤돌아 보면

 

암산굴 위로 구리 측백나무숲이 보이고,

 

안동 얼음 축제 안내판 아래를 지나면

 

암산 버스 승강장 앞 고산서원과 암산 유원지로 가는 입간판을 지나

 

지장사를 지나면

 

뒷편으로 되돌아보면

290m봉에서 하산한 능선길이 보이며,

 

들머리인 요양원 입구에 도착하여

 

강변의 주차장에 도착하여 종료하는 자암산 산행이다.

 

 

주차장에서 앞산 폭포를 보기 위해 암산 폭포 방향으로 간다.

암산 폭포는 11시 이 후 되어서야 볼 수 있다고 한다.

 

 

동영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