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함안 필봉산-백암산-필봉산 숲길-상림 공원
필봉산-경남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 935번지-해발 233m,
백암산-경남 함양군 함양읍 대덕리 산 1-3번지-621.4m
상림 공원-경남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354-1번지
소개;
함양 읍내에서 시작하는 백암산 산행은
필봉산 가족 숲길과 기존의 최치원 산책로에 필봉산 가족 숲길이 곁들어 지고
여기에 도시 근린 공원인 상림 공원의 산책로가 더해져 멋진 코스가 되었다.
백암산 정상에서 바라보면
함양 읍을 포함,9개 고을은 물론 지리산 능선과 백두대간까지 조망 할 수 있는 명산으로
옛날 부터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기도 하다.
산아래에는 다른 작물은 안되고 콩 밖에 심을 게 없어 이름이 그리 붙은 두산 마을과
옛날 효자가 여막을 짓고 시묘 살이를 해서 불리는 막고개가 있어 산행을 묘미를 더해 주고 있다.
당연히 멀리서 바라보면 산중턱에 흰바위가 보이는데 백암산이라 불리게 된 바위이다.
고운 최치원 선생의 이름을 딴 최치원 산책로와 곁들어지는 필봉산 가족 숲길의 중심인 필봉산을 거닐다 보면
산줄기가 뻗은 자리에 세종의 12번재 아들로 단종 복위 사건에 연루되어 함양 휴천 계곡 새우섬에 유배 되었다가
3년만에 고작 서른의 나이에 죽었고 사후 156년이 지나 숙종때 예를 갖춰 무덤을 단장 했다는 한남군묘를 만난다.
숲길을 빠져 나오면 마즈막으로 푸른 숲으로 단장한 상림 공원을 만난다.
공원내의 산책로를 거닐다 보면 신라 말기의 문신인 고운 최치원 신도비와 역사 인물 공원 등
산책로 곳곳에는 다양한 조형물을 조성하여 산책과 더불어 솔솔한 재미를 더해 주고 있다.
산행일시; 2024.11.10.일요일,맑음
산행코스;
함양 문화 예술 회관 주차장- 필봉산-한남군 묘-두산 저수지 갈림길~두산저수지-교산육교-영양 천씨 묘-백암산
-헬기장 갈림길~막고개 과수원-두산 저수지 갈림길-산불감시초소-상림·대병저수지 갈림길-상림공원-물레방앗간
~역사 인물 공원-함양 예술회관 주차장-원점회귀 산행
산행시간; 5시간
가는 길;
대구 달서구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 성서점-신천대로-남대구IC-옥포JC-광주 대구 고속도로-함양IC
-함양IC 교차로(본백 삼거리)/함양 방면-주차장 사거리 앞/안의 방면-함양 문화 예술 회관 주차장
(네비; 경남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 1044번지-95.8km,1시간4분 소요,통행료 5,000원)
이미지 보기
함양 문화 예술 회관 주차장에서 시작하는 필봉산-백암산-필봉산 숲길-상림공원 산행이다.
안내도가 위치한 필봉산 10번 지점에서 좌/우로 갈림길이 나온다.
우측 방향으로 가파른
계단길을 오르면
석축 묘소 옆을 지나
정수장 입구 임도에 올라 우측으로 약50m가면
왼쪽 필봉산으로 오르는 데크 계단이 보인다.
가파른 데크 계단을 올라가면
필봉산 정상아래 삼거리 갈림길이 나온다.
좌측으로 조금가면
운동 기구가 보이는 곳 우측으로 필봉산 정상으로 오르는 목계단이 나온다.
목계단을 올라서면
몇개의 벤치가 있는 해발 233m의 필봉산 정상에 올라선다.
주위는 나무로 가려 조망은 없다.
정상석 뒷편으로 난 하산길로 내려가면
쉼터 의자를 만나 내리막길을 내려 설때면
필봉산 숲길 45번 지점의 사거리 갈림길을 만난다.
우측 가파른 내리막길은 대병 저수지(2.3km) 방향으로 한남군 묘소로 가는 길이며,
좌측은 여중 후문(0.49km)으로 가는 길이다.
대병 저수지 방향으로 가도 가야 할 방향인 한남군 묘소로 가는 길이나
상림(0.6km)-천년의 정원 방향으로 능선을 따라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계단길 아래 이정표 갈림길에 내려선다.
좌측은 심마니 쉼터로 가는 길이며,
우측으로 천년의 정원/세종왕자 한남군묘 방향으로 시멘트길을 따라가면
삼거리 갈림길 이정표네서 좌측으로 천년의 정원/세종왕자 한남군묘 방향으로 비포장길을 조금가면
우측 산아래 비석이 많이 보이는 묘소가 한남군묘라는 것을 한 눈에 알아 볼수 있다.
시멘트길 삼거리에 도착하여 좌측으로 바라보면 이정표가 보인다.
백암산으로 가기 위해서는 대병 저수지(1.84km) 방향으로 가야 한다.
좌측 곰 조형물이 보이는 비포장길로 들어가면 천년의 정원으로 들어가는 길이며,
좌측 시멘트길을 따라가면 상림 공원으로 가는 길이다.
안내판 옆 돌계단을 올라 한남군묘의 잔듸를 밞으며 닥아 가 본다.
신도비를 지나 묘소 앞에 서서 한남군을 상상하며 바라본다.
세종과 혜빈 양씨 사이 서자로 태어난 12번째 세종의 아들로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금성대군,영풍군,혜빈 양씨가 역모를 꾀하였다 하여 1455년(윤6월 11일)에 금산에 유배되었다,
이후 아산에 이배되었다 세조 2년(1456년음력6월27일), 함양(咸陽)으로 옮겨져 방금(防禁) 사태 하에
1459년(음력5월 29일) 병사하였다.
한남군묘에서 바라보면
지나온 필봉산과 상앙공원으로 가는 방향으로 바라보면
한남군묘에서 되돌아와 대병 저수지 방향으로 핌봉산 숲길 75번 지점을 지나면서
천년의 정원 방향으로 바라보면
필봉산 숲길 85번 지점을 지나
산비탈길 아래 막다른 삼거리 갈림길에서
우측 이정표에서 대방 저수지 방향으로 좌측 산비탈길로 내리막길을 잠시 내려가면
언덕 우측으로 이정표와 안내판,필봉산 숲길 100번 지점에 도착한다.
안내판,이정표(능선 정상 1.0km),필봉산 숲길 100번 방향으로 목계단을 올라
숲길을 따라가면
목계단과
산능선이 보이는 숲길을 따라가
숲속길 125번-130번-140번 지점을 지나면
필봉산에서 이 곳까지 1.1km 온 능선 삼거리 갈림길 이정표 지점에 도착한다.
직진하여 계단으로 오르는 대병 저수지 방향(1.27km)은
백암산을 오른 후 다시 이 곳으로 되돌아와 가야 하는 방향이다.
우측 두산 저수지(0.27km) 방향으로 안부 아래로 내려가면
두산 저수지를 지나 가야 할 백암산이 보이기 시작한다.
우측 봉우리로 하여 중앙의 백암산 정상 후 좌측 능선으로 내려 오는 백암산 산행이다.
두산 저수지 울타리를 따라
삼거리 갈림길을 만나 우측 울타리를 따라가면
좌측으로 이정표(백암산2km,두산마을 0.5km)와 백암산 종합 등산로 현위치 안내도 방향으로
농노길을 따라가면
광주 대구간 고속도로 위 교산 육교를 건넌다.
우측은 가조-대구로 가는 도로며,
좌측 수로가 보이는 방향은 광주로 가는 도로다.
교산 육교를 건너면 좌측 건물 아래 이정표를 만난다.
교산 육교를 건너온 방향은 두산 마을(0.7km) 방향이며,
좌측 백암산 정상(1.8km) 방향은 백암산 정상 후 하산하여 오는 막고개 방향이며,
우측 백암산 정상(1.8km) 방향은 백암산 정상으로 가는 큰골 산행길이다.
좌측이나 우측 어디로 갈 것이냐는 산행자의 몫이다.
이정표에서 우측으로 140여 m 시멘트길을 따라가면
언덕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약간 오르막길로 오른다.
삼거리 갈림길에서 큰골을 따라 곧바로 백암산이 보이는 방향으로
초록색 집과
축사 옆을 지나 약 350m 포장 임도를 오르면
개울을 건너는 삼거리 갈림길이 나온다.
직진하는 길을 버리고
우측으로 개울을 건너 포장 임도를 따라 오르면
포장 임도가 끝이나고 비포장길 임도을 따라 산길로 들어가면
우측으로 이정표를 만난다.
아래 개울을 건너는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포장 임도와 비포장 임도를 약 150m 오른 지점이다.
직진하여 정상으로 오를 수 있으나 이정표가 가르키는 백아산 정상(1.1km) 방향으로 계류를 건너
산길로 오르면
묘소(양천 허씨) 아래를 지나
좌측 묘소 위 능선으로 오르면
밧줄을 따라 오르는 능선길로 오르면
봉우리에서 우회하는 좌측 산사면길을 따라 올라
좌측 능선길을 따라 살짝 내렸다
가파른 오르막길을 오른다.
본격적인 가파른 등산로가 시작한다.
바위 앞에서 아래로 뒤돌아 보면
백암산으로 오르는 산행 중 처음으로 보이는 첫조망이다.
아래 대구로 가는 광주 대구간 고속도로가 보인다.
조망 후 암벽 위로 살금살금 기어 오른다.
앞으로 산능이 보이는 완만한 능선길에서 우측으로 바라보면
대슬랩이 조망된다.
백암산이라는 이름이 있게한 슬랩이다.
슬랩 아래로 거창-대구로 가는 광주 대구 고속 도로가 뱀처럼 구불구불 지난다.
대슬랩 조망 후 다시 가파른 능선길을 오르면
바위 구간과
축대 옆을 지나면
능선에 올라 좌측으로 한번 더 능선에 올라
청색의 이정표를 지나면
백암산 정상 아래 갈림길 이정표가 나온다.
두산 저수지에서 2.05km 오른 지점으로 백암산 정상까지는 50m 남은 지점으로
우측은 보산 행복마을/정취마을(1.5km)로 하산하는 길이다.
정상 아래 가파른 데크 계단을 오르면
해발 621.4m의 백암산 정상에 올라선다.
정상의 백암산 설명판/삼각점/이정표(두산저수지2.1km-2.0km,대병마을 3.2km)와
백암산 정상석이 위치하고 있다.
정상에서 보는 조망은 그야 말로 일망무제다.
전망대에서
동영상
하산하는 방향은
송신탑 방향 데크 계단 방향 (대병마을 3.2km).
왔던길로 되돌아가는 전망대 옆 데크 계단으로 가는 두산저수지(2.1km).
세번째 방법은 정상석/삼각점과 이정표/쉼터 사이 목계단으로 내려가는 대산저수지(2.0km)로 하산하는 방법 중
세번째 방법으로 하산 하기로 한다.
급경사 내리막 목계단을 내려가면
내리막길에 우측으로 널찍한 조망 바위를 지나
바위 능선을 지나면
정상에서 0.2km 내리막길 능선을 내려가면 널찍한 폐헬기장 갈림길 이정표를 만난다.
이정표가 표시 되지 않은 좌측으로 가면 계곡으로 하산하는 등산로가 나온다.
두산마을 (1.9km) 방향으로 가파른 목계단으로 내려가면
가파른 목계단으로 내려가다 우측으로 바라보면
대봉산과 천왕봉이 조망되고
묘소와
목계단길
또한번의 묘소를 지나
능선에서 좌측으로 휘어진
가파른 목계단을 내려가면
벤치 능선에서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묘소 아래와
계곡으로 내려가는 가파른 내리막 계단을 내려가면
백암산 정상에서 1.2km 하산한 지점의 이정표를 만난다.
두산 저수지까지는 0.8km 남았다.
계곡을 따라 임도를 따라가면
과수원 비포장 임도가 포장 임도로 바뀌고
마을 창고를 지나
교산 육교 앞 삼거리에 도착하여 우측 교산 육교를 지나
대산 저수지로
두산 마을 갈림길을 지나
대산 저수지를 지나
능선 갈림길로 오르막길을 올라
두산갈림길에서 우측 계단길로 올라 필봉산 숲길로 들어선다.
필봉산 숲길 145번을 지나
봉우리를 우회하여 올라
155번을 지나 봉우리가 보이는 곳으로 오르면
벤치와 백암산 조망이 기다리는 160번 지점에 오른다.
조금 전 다녀온 백암산을 바라보면서 어디가 정상일까?
어느 방향으로 올라 어느 방향으로 하산하였나 점검해 본다.
조망 후 다시 필봉산 숲길165번과 170번을 지나 좌/우 능선 갈림길을 지나
175번을 지나 가파른 계단을 오르면
팔봉산 180번 지점을 지나면 산불감시 초소봉에 올라선다.
초소 건너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 러시아의 시인이자 소설가인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푸시킨의 시(詩)다.
시를 읽다보니 60여 년 전 옛 소년 시절이 생각이 난다.
중학교 졸업식날 사진을 찍던 그 때 나의 교복 포켓에 꽃을 달아 주던 동갑 내기 소녀가 있었다.
이 후 이 것이 인연이 되어 우리 둘은 아름다운 첫사랑이 시작 되었고,
그 해 크리스마스 이브 남 밤-그 소녀 손에는 조그마한 액자를 들고 있었다.
그 액자 속에는 푸시킨의 '삶이 그대를 속이지라도'....시가 담긴 액자였다.
중학교를 졸업한 날의 그 첫사랑은 군대 입대 하기 전 하얀 눈이 내린 크리스마스 이브날 밤까지 지속되었고...
군대 입대 할 때는 그녀는 내 곁에 없었다.
질투와 오해로 그 녀에게 이별을 통보 한 후 였기 때문이다.
산불 감시 초소 아래 체육 시설을 지나면
능선 둘레길 안내도와
우측으로 가는 능선 둘레길 이정표를 지나면
필봉산 숲길 190번 지점을 지나 내려가는 급경사 계단이다.
200번 지점을 지나 내리막길을 내려가
좌측으로 바라보면 상림 공원이 보인다.
좌/우 갈림길 봉우리에 올라
220번을 지나 내리막길을 내려서
225번지점의 안부에 내려서면
우측 대벙 저수지(0.33km)로 가는 삼거리 갈림길 이정표에 도착하여
직진하여 대병 저수지(0.37km) 방향으로
밧줄을 따라 오르는 오르막 계단을 올라가면
마즈막 봉우리에 올라 이정표(필봉산 2.08km,대병저수지0.29km,상림 0.45km)에서
좌측 상림 방향으로
급경사길을 내려가면
좌측 묘소를 지나
임도에 도착한다.
이정표(능선 정상 0.75km,대병저수지 0.1km,상림숲(0.17km) 에서
상림숲 방향-좌측으로 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도로를 건너
뒤돌아본 길건편이다.
상림 공원으로 들어서면
맨처음 만나는 물레방아다.
맨발 산책로로 들어선다.
문창후 선생(최치원 시효) 신도비를 지나
역사 인물 공원을 지나
정수장을 지나면
위천을 바라보고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최치원 신도비를 지나
화수정(정자)을 지나 우측으로 가면
좌측으로
목다리를 건너
주차장 방향으로 가다
우측 연꽃단지 사이를 지나
도로를 건너
목다리를 건너
삼산 주제관 방향으로 가면
우측으로 불로 폭포 앞에서 우측으로
놀이터 방향으로 가면
최치원 역사 공원에서
안내도가 보이는 고은루 방향으로 가
고은루 앞을 지나
야외 공연장을 지나
주차장에 도착하여 종료하는 산행이다.
',·´″″°³ 산행.여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상주 할미산 곶감길(할미산~할배산) (2) | 2024.11.20 |
---|---|
경북 상주 삼봉산 (3) | 2024.11.13 |
대구 달성 삼정산 (2) | 2024.11.08 |
경북 김천 고성산 둘레길 (0) | 2024.11.06 |
경북 칠곡 왜관 파산(달오산) (1)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