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삼문        작성일자; 2010.04.14.수요일,맑음

 

생졸; 1418-1456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근보(謹甫), 호는 매죽헌(梅竹軒). 충청남도 홍성(洪城) 출신.

개성유후(開城留后) 성석용(成石瑢)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중추부사 성달생(成達生)이고, 아버지는 도총관(都摠管) 성승(成勝)이다.

어머니는 현감 박첨(朴襜)의 딸이다.

 

1435년(세종 17) 생원시에 합격하고,

1438년에는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했으며,

1447년에 문과중시에 장원으로 다시 급제하였다.

  집현전학사로 뽑혀 세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으면서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직집현전(直集賢殿)으로 승진하였다.

1442년에 사가독서(賜暇讀書: 문흥을 위해 유능한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 전념하게 하던 제도)를 했고,

  세종의 명에 따라 '예기대문언두(禮記大文諺讀)'를 펴냈다.

 

세종이 훈민정음 28자를 만들 때 정인지·최항·박팽년·신숙주·이개 등과 함께 이를 도왔다.

특히 신숙주와 같이 명나라 요동을 여러 번 왕래하면서,

그 곳에 유배 중인 명나라의 한림학사 황찬을 만나 음운(音韻)을 질문하였다.

또한, 명나라 사신을 따라 명나라에 가서 음운과 교장(敎場) 제도를 연구해와

1446년 9월 29일 역사적인 훈민정음을 반포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1453년(단종 1) 좌사간으로 있을 때,

  수양대군(首陽大君: 뒤의 세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황보 인·김종서 등을 죽이고 스스로 정권과 병권을 잡고는 그에게

  정난공신(靖難功臣) 3등의 칭호를 내렸는데 이를 사양하는 소를 올렸다.

1454년에 집현전부제학이 되고, 예조참의를 거쳐, 1455년에 예방승지가 되었다.

그 해 세조가 어린 조카인 단종을 위협, 선위를 강요할 때,

그가 국새를 끌어안고 통곡을 하니 세조가 그를 차갑게 노려 보았다.

이후 아버지 승의 은밀한 지시에 따라, 박중림·박팽년·유응부·허조·권자신·이개·유성원 등을 포섭,

단종 복위운동을 계획하였다.

그러던 중 1456년(세조 2) 6월 1일에 세조가 상왕인 단종과 함께 창덕궁에서 명나라 사신을 위한 잔치를 열기로 하자,

그 날을 거사일로 정하였다.

그는 거사일 전날에 집현전에서 비밀 회의를 열고 그의 아버지 승과 유응부·박쟁 등 무신들에게는

세조와 윤사로·권람·한명회를, 병조정랑 윤영손에게는 신숙주를 각각 제거하도록 분담시켰다.

그리고 나머지 중신들은 여러 무사들이 나누어 제거하기로 정하였다.

그리고 김질에게는 그의 장인인 정창손으로 하여금 상왕 복위를 주장하도록 설득하라 하였다.

그러나 당일 아침에 갑자기 연회 장소가 좁다는 이유로 별운검의 시립이 폐지되어 거사는 일단 중지되었다.

이에 거사는 세조가 친히 거둥하는 관가(임금이 봄에 권농하기 위해 곡식의 씨를 뿌리는 것을 관람하던 행사) 때로

미루어졌다.

거사에 차질이 생기자 함께 모의했던 김질이 그의 장인 정창손과 함께 세조에게 밀고하여 모의자들이 모두 잡혀갔다.

그는 세조를 가리켜 ‘나으리(進賜: 종친에 대한 호칭)’라 호칭하고 떳떳하게 모의 사실을 시인하면서 세조가 준 녹(祿)은

창고에 쌓아두었으니 모두 가져가라 하였다.

그는 모진 고문을 당했으나 조금도 굴하지 않으면서 세조의 불의를 나무라고 또한 신숙주에게는 세종과 문종의 당부를

배신한 불충을 크게 꾸짖었다.

격노한 세조가 무사를 시켜 불에 달군 쇠로 그의 다리를 태우고 팔을 잘라내게 했으나 그는 안색도 변하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그 사건에 연루되어 문초를 받고 있던 강희안을 변호해주어 죽음을 면하게 하였다.

그 달 8일 아버지 승과 이개·하위지·박중림·김문기·유응부·박쟁 등과 함께 군기감 앞에서 능지처사를 당하였다.

그 때 동생 삼빙·삼고·삼성과 아들 맹첨·맹년·맹종 및 갓난아이까지 모두 죽음을 당해 혈손이 끊겼다.

그가 형을 당한 뒤 그의 집을 살펴보니 세조가 준 녹이 고스란히 쌓여 있었을 뿐 가재라고는 아무것도 없었으며,

방바닥에 거적자리만 깔려 있을 뿐이었다.

이처럼 그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절신으로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국민들의 숭앙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육신의 한 사람일 뿐

아니라, 타고난 자질이 준수하고 문명이 높았으며, 조정의 경연(經筵)과 문한(文翰)을 도맡아 처리하였다.

특히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한 것은 그의 높은 절의에 뒤지지 않는 큰 업적이라 할 수 있다.

뒷날 남효온은 '추강집'의 육신전에서 대의를 위해 흔연히 죽음의 길을 택한 그의 높은 절의를 기록, 후세에 전하였다.

1691년(숙종 17), 신원(伸寃: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고,

1758년(영조 34)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1791년(정조 15) 단종충신어정배식록(端宗忠臣御定配食錄)에 올랐다.

묘는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사육신 묘역에 있으나, 그의 일지(一肢)를 묻었다는 묘가 충청남도 은진에 있다.

장릉(단종의 능) 충신단에 배향되었으며, 영월의 창절사, 서울 노량진의 의절사, 공주 동학사의 숙모전에 제향되었다.

송시열이 쓴 '홍주성선생유허비'와 '연산성선생유허비'가 있다.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저서로 '매죽헌집'이 있다.

 

',·´″″°³ 역사.인물.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위지  (0) 2010.04.14
박팽년  (0) 2010.04.14
장영실  (0) 2010.04.14
정인지  (0) 2010.04.13
세종대왕과 혼천의  (0) 2010.04.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