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인 양요 2019.08.15.수요일,흐림
병인양요는 조선 조정(흥선대원군)에서 네 차례에 걸쳐 일어난 카톨릭 교도에 대한 대량 학살 사건으로,
첫번째는 1866년 봄에,두번째는 1866년 여름에서 가을까지,세번째는 1868년(무진사옥),네번째는 1871년(신미사옥)으로 도합 8,000여 명 이상의 순교자를 내었다.
흥선 대원군에 의해 계속 추진된 것이므로 이 네번의 사건은 병인박해에 포함시키는 것이 통례이다.
따라서 병인박해는 병인년인 1866년 한 해의 박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 뒤 6년간에 걸친 박해를 모두 지칭하는 용어다.
병인박해는 조선 조정(흥선 대원군)에서 가톨릭 교도를 대량 학살한 사건의 원인은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서 비롯된다.
1864년(고종1년),러시아인이 함경도 경흥부에 와서 통상하기를 요구하였을 때 흥선 대원군과 정부 요인은 놀라고 당황하였으나 대책은 속수무책이었다.
이때 조선에 와 있던 가톨릭 교도들은 대원군에게 한.불.영 3국 동맹을 체결하게 되면 러시아의 남하 정책을 막을 수 있다고 대원군에게 프랑스 선교사를 만나라고 하자 대원군은 요청을 하였다.
그러나 당시 지방에서 포교 활동을 하고 있던 다블뤼 주교와 베르뇌 주교가 서울에 돌아 왔을 때는 이미
러시아인의 월경과 통상 요구가 시일이 경과하여 시기를 놓치고 말았다.
당시 카톨릭교를 서학.사학이라 하여 배척하던 때라 선교사들은 3국동맹이 체결되면 포교의 자유를 얻을 수 있으리라는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고,무책임한 주선으로 비난을 받게 되었다.
운현궁(대원군 사저)에도 카톨릭 교인들이 출입한다는 소문이 퍼졌다.
조대비(신정왕후 조씨;순조의 며느리) 이하 정부 대관들이 가톨릭 교도의 책동을 비난하자 대원군은 가톨릭 교도를 탄압하기로 결심하였다.
1866년(고종3년)초에 대원군은 천주교 금압령을 내려 프랑스 선교사 12명 중 9명이 잡혀 처형되고,
3명만이 화를 면할 수 있었으며,조선인 천주교 신자 남종삼,정의배 등 천주교도 8천명을 학살하였다.
그러나 조정에서는 아직도 체포되지 않은 3명의 프랑스 신부의 행방을 찾고 있었고,
이 사건으로 산속으로 피신하여 병과 굶주림으로 죽는 부녀자와 어린이가 부지기수였다고 한다.
1866년5월,이들 3명 중 리델 신부는 중국으로 탈출해 중국 텐진(천진)에 주둔한 프랑스 함대 사령관
로즈 제독에게 한국에서 일어난 천주교도 학살 사건을 알림으로써 병인 양요가 일어났다.
베이징(북경) 주재 프랑스 대리 공사는 청국 정부에 공한을 보내어 조선으로 진격할 결심을 표명하고,
이후 어떠한 사태가 발생하든 청국 정부는 이에 간섭할 수 없다고 통고하였다.
청국을 통해 프랑스 동태를 알게된 대원군은 천주교도에 대한 탄압과 변경 수비를 강화하자 이에 로즈가
함대를 이끌고 3차에 걸처 내침함으로 한.불간의 군사적 충돌이 야기되었다.
프랑스 공사 벨로네는 청국의 승인을 받고 조선이 병인박해를 단행하였으므로 '공범자'라고 청국 정부를
규탄하므로 청국은 조선은 중국의 조공국이지만 정치적으로 독립국가이며,공범 사실은 사실 무근이라고
하면서 거병을 강력히 항의하였다.
이에 프랑스 정부는 조선과 수교 관계가 없다는 점과 조선은 정치적 독립 국가라는 점 등을 들어 프랑스
정부의 직접 개입 없이 현지 사령관인 로즈의 주재 하에 군사적 응징 원정을 단행하기로 결정했다.
프랑스 정부는 조선에 대해 선전 포고를 하고 로즈 제독에게 응징 원정을 결행 할 것을 명하였다.
제1차 원정은 강화 해협을 중심으로 서울 지의 수로를 탐사하기 위한 예비적 탐사 원정이었다.
1866년9월18일부터 10월1일까지 로즈는 군함 3척을 이끌고 서울 양화진,서강까지 올라와서 세밀한
지세 정찰과 수로 탐사 끝에 지도 3장을 만들어 돌아갔다.
제2차 원정은 10월11일에 군함 7척,함재 대포 10문,총병력 1,000명,향도 및 수로 안내인으로 리델 신부와
조선인 천주교도 최선일,최인서,심순녀 등 3명을 대동하여 제2차 조선 원정길에 올랐다
10월16일에 강화부를 점령하고 포고문을 발표하여 강경한 응징 보복 의지를 보였다.
사태가 위급하게되자 정부는 순무영을 설치하고 대장에 이경하,중군에 이용희,천총에 양헌수를 임명해 출정하게 하였다.
양헌수는 제주목사로 있다가 천총에 임명되어,통진부에 진을 치고 강화도 수복 계획을 구상하였다.
강화도를 점령한 프랑스군은 10월26일에 문수산성 전투에서 조선군을 압도하였다.
이때 양헌수는 화력면에서 절대 열세인 조선군이 프랑스군을 제압하려면 기병 작전이 아니고서는 불가능
하다고 판단하고 강화도를 수복할 작전 계획을 수립하였다.
11월7일,덕포에서 심야 잠도작전을 전개하여 549명의 군대가 정족 산성을 점거했다.
양헌수는 정족진을 결성한 뒤 남문에는 초관 김기명 지휘 하의 포수 161명,동문에는 초관 이렴 지휘 하의 포수 150명,서문과 북문에는 초관 이대흥 지휘 하의 경군 및 향군 157명을 배치,매복하게 하고,프랑스군의 내습을 기다렸다.조선군이 강화 해협을 건너가 정족 산성에 농성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은 로즈는 올리비에 대령에게 정족산성 공격을 명하였다.
11월9일,올리비에는 160명의 분견대를 이끌고, 야포 없이 경무장한 채 정족산성 공략에 나섰다.
조선군이 동문과 남문으로 쳐들어오는 프랑스군에게 일제히 포격을 가하면서 일대 격전이 벌어졌다.
정족산성에서의 접전 결과, 프랑스군은 전사자 6명을 포함하여 60∼70명의 사상자를 내었으나 조선군의
피해는 전사자 1명, 부상자 4명뿐이었다.
양헌수가 이끄는 조선군이 강화도의 정족 산성에서 프랑스군을 물리쳤으며,
프랑스군은 10월14일 상륙 이래 거의 한달 동안 강화도를 점거했지만,
정족산성을 재공략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11월10일 함대를 철수하고 말았다.
프랑스군은 강화도 철수 시 고도서와 은괴 등 문화재를 약탈해갔다.
이때 프랑스군은 외규장각 도서들을 145년만에 최근(2011.11.14)에야 임대 형식으로 반환했다.
이 싸움은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서구 제국주의 침략 세력을 격퇴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로즈의 조선 원정은 11월 21일 제2차 원정이 끝날 때까지 무려 2개월여에 걸친 장기 원정이었다.
원정을 끝내고 청국으로 돌아간 로즈는 선교사 학살에 대한 보복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공사 벨로네를 비롯한 북경의 모든 외교관들은 그의 원정을 실패로 간주하였다.
천주교 탄압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군이 조선의 강화도를 침범함으로써,조선군과 프랑스군 사이에 벌어진 사건으로 병인양요(병인사옥)라고도 한다.
보복은 커녕 오히려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박해와 쇄국정책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미국은 1867년3월,
미국은 제너럴셔먼호 사건으로,프랑스는 병인사옥(1866년)으로 인해 피해를 보았으니 대조선 미.불 공동
원정을 제의하였을 때,프랑스 정부는 이미 조선 원정을 통해 응징 보복을 했기 때문에 새삼스러이 공동 원정은 할 필요가 없다고 거절한 예를 들 수 있다.
',·´″″°³ 역사.인물.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신미양요/190815 (0) | 2019.08.15 |
---|---|
⊙ 오페르트 도굴 사건/190815 (0) | 2019.08.15 |
⊙ 제너럴 셔먼호 사건/190815 (0) | 2019.08.15 |
⊙ 병인박해/190815 (0) | 2019.08.15 |
⊙ 조선왕 제26대 고종이야기/190815 (0) | 2019.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