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의령 한우산
해발; 835.7m
위치; 경남 의령군 대의면 신전리 산 17
소개;
한우산은 산세가 웅장하고 골이 깊어 곳곳에 기암 괴석이 연출하는 절경이 즐비하다.
한우산은 그 이름 부터가 그럴싸한 내력으로 지어 졌으니,
산이 깊고 수목이 울창하여 오뉴월 한더위에 맞는 비도 겨울비 처럼 차갑다 하여
'찰 한(寒), 비 우(雨)' 자를 쓰며, 그 사이 계곡을 찰비골이라 불린다.
한우산은 곳곳에 전설이 서려 있는 농소와 각시소 등이 운치를 더하는 가운데,
봄이면 진달래가 흐드러 지게 피고,여름에는 싱그러운 숲이 울창함을 더하고,
가을이면 단풍이 절정을 이룬다.
진달래 군락지로 유명한 한우산 정상 부근에 철쭉 군락지가 있어 봄이면 많은 탐방객들로 붐빈다.
주위에 가볼만 곳은 한우산 아래 계곡의 찰비 계곡과 벽계 관광지가 있으며,
의령읍 소재지에 위치한 수암사,궁류면 평촌리의 일붕사가 있다.
봄철 꽃구경 탐방객들도 많이 찾는 곳이기도하다.
산행일시; 2024.05.11.토요일,흐림
산행코스;
쇠목재 주차장 -한우산 등산로 입구-홍의송원 사거리-철쭉 도깨비 조형물/한우산 주차장
-철쭉 도깨비 조형물-설화원 입구-한우정-한우산 꽃바람 쉼터-데크 계단-하늘 전망대 입구
-한우산 정상(836m)-호랑이 쉼터-헬기장-한우산 정상- 하늘 전망대 입구- 한우정-설화원 입구
-쇠목재 주차장
신행시간; 4시간
가는 길;
대구 달서구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 성서점-신천대로-남대구IC-옥포JC-광주 대구 고속도로-고령IC
-쌍책 방면-신곡 교차로/합천,거창 방면-매촌 교차로/합천,진주 방면-대양 교차로/의령,진주 방면
-대의 교차로/의령,창녕 방면-칠곡 교차로/좌회전,신전리 방향-쇠목재
(네비; 경남 의령군 대의면 신전리 산1-1번지-96.7km, 1시간 18분 소요,통행료 2,400원)
이미지 보기
칠곡면 외조리의 칠곡면 소재지와 내조리 마을을 지나 가파르게 오르는 임도길을 오르면 쇠목재에 도착한다.
쇠목재는 우측 자굴산과 좌측 한우산 경계의 안부로
의령군 대의면 신전리와 가레면 갑을리 경계 고개 마루다.
쇠목재에는 주차장이 따로 마련 되어 있지 않지만 임도 좌/우로 주차 할 수 있는 넒은 공간이 있다.
우측으로 보이는 산능과 임도길은 자굴산으로 가는 등산로다.
금일 한우산 산행은 쇠목재 지하도를 지나면서 시작한다.
한우산 생태관 방향 임도는
현재 24년12월까지 공사 중으로 차량과 사람들 모두 출입을 통제하여 한우산 정상으로 갈 수 없다.
한우산 등산로 입구 안내판을 따라 쇠목재 지하도를 지나면
좌측 돌탑과 쉼터가 보이는 방향으로 한우산 등산로 입구가 나온다.
쉼터 뒷편으로 데크 계단이 보이는 방향으로 가
오르막 데크 계단을 올라
끝 지점에 오르면 매트길이 시작하는 곳에 연두색 울타리를 만난다.
울타리에 많은 등산객들이 다녀 갔다는 표식인 리본들이 걸려 있다.
울타리를 조금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면 첫번째 만나는 이정표다.
홍의송원 삼거리까지 0.7km며 철쭉 설화원(도깨비 숲)까지 1.2km,
반대편 자굴산 까지는 1.4km라는 이정표다.
홍의송원 삼거리까지 0.7km 구간은 가파른 능선길이다.
이정표를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면 다시 만난 데크 계단길이다.
계단을 올라서면
목계단길을 따라 오르는 등산로다.
가파른 목계단길을 오르면
첫번째 이정표에서 0.1km 오른 지점인 소나무 생태 숲길 입구 이정표에 도착한다.
좌측 소나무 생태 숲길은 공사로 인하여 막아 놓은 상태다,
통나무 계단과 목계단길을 따라 가파른 능선길을 오르면
목계단에 이어 테크 세번째 데크 계단을 만난다.
가파른 데크 계단을 오르면
우측으로 조망을 할 수 있는 조망 바위터가 나온다.
바위 조망터를 지나고 나면 너럭 바위 지점을 통과하게 된다.
너럭 바위 지점을 통과하여 네번째 데크 계단을 만나
올라서면
가파른 바위 구간이 기다리고 있다.
바위 구간을 잠시 오르면
쉼터가 위치한 다섯번째 데크 계단이다.
다섯번째 게크 계단을 올라서면 조그만한 공터에 조망터가 나온다.
조망터에서 보는 조망은
능선으로 이어지는 풍력 발전기와
궁류면 운계리의 선암산(528m)-매봉산(597m) 아래 가례면 갑을리 마을과
매봉산 너마로 멀리 좌측으로 유유이 흘러 가는 낙동강이 희미하게 보인다.
우측 자굴산 아래 자굴산 자연 휴양림과 자굴산 중봉에서 백련사로 가는 중봉이 조망되고,
자굴산 정상에서 우측으로 칠곡면 내조리로 하산하는 능선이 조망된다.
조망 후 너럭 바위를 지나
능선 너럭 바위에 올라 뒤돌아 보면
아래 조망터에서 본 자굴산과 자굴산 산자락 아래 대의면 신전리의 신전소저수지와
신전리 마을이 조망된다.
매트 능선길을 만나 지나면
멋진 나무 아래를 지나
우측으로 돌아가면
여러 갈래의 참나무를 지나 완만한 능선길을 따라가면
이팝꽃이 만발한 매트길을 따라가면
좌측 능선으로 '관찰 식물 소개 안내판'과 이정표가 위치한 삼거리 갈림길에 도착한다.
들머리인 쇠목재에서 0.68km 오른 지점으로
좌측 능선길은 철쭉 설화원(도깨비숲) 입구 0.53km,한우정0.6km로 가는 능선길이며,
우측 내리막길은 활공장으로 가는 등산로다,
나중에 이 곳으로 되돌아와 활공장으로 가 볼 예정이다.
좌측 철쭉 설화원(도깨비숲) 입구,한우정으로 가는 능선길로 오르면
이정표(제2활공장 380m,백학마을 4.1km)가 위치한 해발 764.7m의 도굴산에 도착한다.
도굴산을 지나면
바위 사이를 내려가는 등산로가 나온다.
매트길을 따라 잠시 내려가
완만한 오르막길로 오르면 만나는 홍의송원 사거리 갈림길이 나온다.
직진하면 철쭉 설화원 입구-한우정으로 가는 길과,
좌측 데크길은 홍의송원으로 하여 생태숲 홍보관으로 가는 데크길이며,
우측은 철쭉 설화원으로 가는 산사면 등산로로,
철쭉 설화원에서 철쭉 설화원 입구로 간다.
홍의송원 사거리에서 매트길을 벗어나 우측 산사면길로 들어가면
우측 계곡 위로 풍력 발전기가 보이는 능선을 볼 수 있다.
'기적을 바라되 의존하지 말라'는 탈무드를 인용한 '약8리' 안내판 아래를 지나면
아래 풍력 발전기로 가는 임도가 보인다.
산사면길을 따라가는 매트길 앞으로 안개가 낀 풍력 발전기 능선이 보이드니
응봉 낭자를 사랑한 철쭉 설화원 이야기의 주인공인 도깨비 쇠목이를 만난다.
철쭉 설화원 이야기 설명판과 설화원 안내도가 있으며,
철쭉 설화원 이야기 설명판.
설화원 안내도.
우측 모서리에는 이정표가 위치하고 있다.
홍의송원 사거리에서 0.26km 지점으로,
직진하여 내리막길로 가면 생태 주차장(0.7km)으로 가는 매트길이며,
좌측 데크 계단으로 오르면 한우정으로 가는 데크길로,
응봉 낭자를 사랑한 도깨비 쇠목이의 철쭉 설화원 이야기를 스토리 텔링한 데크길이다.
철쭉을 삼킨 도끼비 형상 구조물 우측으로 데크 계단으로 한우정 방향으로 오르면
응봉 낭자를 사랑한 도깨비 쇠목이의 모습이다.
하늘이 보이는 오르막 데크 계단으로 오르면
문지기 도깨비가 있는 설화원 입구에 도착한다.
문지기 도깨비가 있는 설화원 입구에는 널찍한 공터가 조성 되어 있다.
문지기 도깨비의 설화원 입구에서
우측으로 한우정과 한우산 쉼터-하늘 전망대 방향으로 능선으로 가면
한우정에 도착한다.
한우정 좌측으로 데크 전망대가 나온다.
데크 전망대에서 보면
문지기 도깨비가 있는 설화원 입구 능선과 뒷편으로 풍력 발전기가 조망되고,
쇠목재애서 오른 도굴산 능선과 쇠목재가 조망되고,
쇠목재 우측으로 자굴산이 구름에 가려 조망된다.
데크 전망대에서 한우산 쉼터 방향으로 바라보면
쉼터 옆으로 오르막 데크 계단이 보이고,
데크 계단 위 봉우리에는 하늘 전망대가 보인다.
한우산 꽃바람 쉼터 우측으로 보이는 오르막 데크 방향으로
쉼터 우측 계단을 오르면
우측으로 데크 계단으로 오르는 한우산 정상으로 가는 길과
좌측으로 산비탈길을 따라가는 철쭉 바람길이 나온다.
좌측 한우산 꽃바람 쉼터 옥상으로 들어가면
한우산 주차장과 뒷편 펑퍼지짐한 합천 산성산이 조망되고
한우정 뒷편으로 풍력 발전지가 조망된다.
또한 도굴산 능선과 쇠목재가 조망되고.
쇠목재 우측으로 높게 느껴지는 자굴산이 보이고,
우측 아래 시멘트길을 따라가는 한우산 생태숲 홍보관 건물이 보인다.
조망 후 오르막 데크 계단을 오르면
데크 전망대를 지나
좌측으로 하늘 전망대가 보이는 데크길로 오르면
한창 공사중인 하늘 전망대 입구를 지나면,
오르막길에 커다란 바위 덩어리가 보이는 한우산 정상석이다.
하늘 전망대 입구에서 뒤돌아 본 하늘 전망대의 모습이다.
정상석이 보이는 완만한 오르막길을 오르면
해발 836m의 한우산 정상에 도착한다.
정상석을 지나면
호랑이 쉼터 입석을 만난다,
헬기장 좌측으로 데크길을 따라가면
호랑이 상이 위치한 곳을 지나면
호랑이 쉼터에 도착한다.
호랑이 쉼터를 지나면 데크 갈림길 삼거리가 나온다.
좌측 내림길은 호랑이 전망대-합천 산성산-벽계 마을로 가는 등산로며,
우측으로 오르는 데크길은 헬기장으로 가는 등산로다.
삼거리 갈림길에서 헬기장 방향으로 우측으로 오르면
널찍한 공간이 헬기장에 도착한다.
헬기장을 가로 질러 한우산 정상석이 보이는 방향으로 가면 한우산 정상 이정표에 도착한다.
좌측 임도 내리막길로 내려가면 한창 공사 중인 한우산 주차장으로 하여 산성산 사거리로 가는 임도다.
정상으로 되돌아와
하늘 전망대와 한우정이 보이는 방향으로 완만한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하늘 전망대에 도착한다.
전망대 옆으로 하여 유아숲 체험장으로 잠시들린 후 다시 이 곳으로 되돌아와 한우정으로 향한다.
하늘 전망대
하늘 전망대 뒷편으로 데크길을 잠시 따라 유아숲 체험장을 잠깐 들린 후
하늘 전망대 입구로 되돌아 간다.
하늘 전망대 입구에서 한우정으로 가는 데크길을 따라
한우정이 보이는 내리막 데크길을 내려서면
한우정을 지나
설화원 입구로 가
설화원 입구를 지나
도굴산 능선이 보이는 내리막 능선길을 내려가면
매트길을 따라 완만한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홍의 송원 사거리 갈림길을 지나
평탄한 능선길이 이어지고
뒤로 뒤돌아 보니 설화원 입구와 한우정,한우정 쉼터,산 봉우리에는 하늘 전망대가 보이고,
조그마하게 보이는 한우산 정상석이 보이기도 한다.
도굴산 이정표 아래를 지나면
우측으로 '관찰 식물 소개 안내판'과 이정표가 위치한 삼거리 갈림길에 도착한다.
우측은 들머리인 쇠목재로 가는 하산로며,
직진하여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활공장과 풍력 발전기로 가는 길이다.
활공장으로 들린 후 다시 이 곳으로 되돌아와 들머리인 쇠목재로 갈 예정이다.
할공장 방향으로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데크 계단이 나온다.
내리막 데크 게단을 내려가면 앞으로 풍력 발전기가 보인다.
풍력 발전기의 소리를 들어면서 한동안 내리막 데크 계단으로 내려가면
할공장에 도착한다.
할공 대기소를 지나면
널찍한 안부 공터가 나온다.
옛날 사용하던 활공장이다.
이정표 앞에 서면 좌/우 두 개의 데크길이 보이는데
한우산 임도로 하여 제2활공장으로 가는 데크길이다.
활공장에서 아래로 바라보면
궁류면 운계리의 선암산(528m)-매봉산(597m) 아래 가례면 갑을리 마을과
매봉산 너마로 멀리 좌측으로 유유이 흘러 가는 낙동강이 희미하게 보인다.
활공장에서 '관찰 식물 소개 안내판'과 이정표가 위치한 삼거리 갈림길로 되돌아 간다.
활공 대기소를 지나 봉우리가 보이는 방향으로
가파른 계단길을 올라
'관찰 식물 소개 안내판'과 이정표가 위치한 삼거리 갈림길로 되돌아와
좌측으로 쇠목재 방향으로 하산을 한다.
멋진 소나무를 지나
능선에 올라서면
자굴산과 자굴산 산자락 아래 대의면 신전리의 신전소 저수지와 신전리 마을이 조망된다.
바위 조망터를 지나
쇠목재 주차장에 도착하여 종료하는 한우산 산행이다.
',·´″″°³ 산행.여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상주 노음산(노악산) (0) | 2024.05.19 |
---|---|
경북 상주 천봉산(석악) (0) | 2024.05.15 |
대구 달성 대방산 (0) | 2024.05.08 |
경북 영천 새미봉~달맞이봉~삼면봉~성일가 (0) | 2024.04.28 |
대구 달성 금계산 (0) | 2024.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