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련 전투기 KAL기 피격 사건          2019.12.27.금요일,맑음


1983년9월1일,

한국인 81명,미국인 55명,일본인 28명,중국인 36명,필리핀인 16명,캐나다인 10명,


타이인 6명,오스트레일리아인 4명,스페인인·말레이시아인·인도인이 각 1명,무국적자1명 등과 승무원 29명이 탑승하여 뉴욕을 출발하여 앵커리지를 경유,서울로 향하던 대한항공 보잉 747 점보 여객기가 사할린 부근 상공에서 소련 전투기의 미사일 공격을 받고 추락한 사건

이다.


1983년8월31일 밤 10시(한국시간),

KAL 007편 747 점보 여객기가 예정대로 앵커리지를 출발,


앵커리지~서울 간 6개의 항로 중 소련 영공과의 최단거리가 50km인 최북단 ‘로미오 20’

항로를 택하여 비행하였다


1983년9월1일,2시7분, 도쿄 국제 통신국 나리타 관제소는 KAL기로부터 “정상 루트

   통과 지점인 캄차카 앞바다의 니피(북위 49°41', 동경 129°19')를 통과하였다”는 타전을 

   받았다.

1983년9월1일,3시12분, KAL기를 추적 중이던 소련 전투기 조종사가 “KAL기를 육안으로

   발견하였다”고 지상 기지에 무전 연락,같은 시각 일본 항공 자위대의 레이더가 사할린 

   동쪽 해상에서 비행 중인 KAL기의 항적을 포착하였다.

1983년9월1일,3시20분,추적하던 소련 전투기가 지상 기지와 “조준을 맞추어라” 등 3회에

   걸쳐 교신하였고,

1983년9월1일. 3시25분 전후, 일본 항공 자위대의 레이더는 KAL기 주변에서 수대의 소련

   전투기들이 격렬히 움직이는 것을 포착하였다.

1983년9월1일,3시26분. 소련 전투기가 KAL기에 미사일 발사, 소련 조종사는 “명중하였다.

   목표물을 파괴하였다”고 지상 기지에 타전,

1983년9월1일3시27분 전후, KAL기와 나리타 관제소와의 교신 두절,

1983년9월1일3시29분, KAL기는 사할린 서남 해안 북위 46°30' 동경 141°30' 상공에서

   일본 항공 자위대 레이더로부터 사라졌다.

1983년9월1일,3시30분. KAL기 주변의 소련 조종사가 “KAL기가 고도 5,000 m까지 급강

   하하였다”고 지상 기지에 보고,

1983년9월1일,3시38분, KAL기는 사할린 서남쪽 모네론섬 해상에 추락,

1983년9월1일,3시53분. 소련 전투기들이 레이더에서 사라졌다.

   소련 조종사는 “목표물로부터 이탈한다”고 지상 기지에 보고하였다.

이에 대하여 한국 정부는 사건 확인 후 성명을 발표,

소련의 비인도적 잔학행위에 강력히 항의하고,

소련당국의 사과와 피해에 대한 보상,사건 책임자의 처벌,이와 같은 사건의 재발 방지에

대한 보장 등 4개항을 요구하면서 국제연합 안전보장 이사회의 긴급 소집을 요구하였다.

이 사건에 대하여 미국·일본·캐나다·영구,프랑스 등 우방국들은 강경한 자세로 소련의

만행을 규탄, 강력한 응징을 실행에 옮기는 데 보조를 같이하였다.

먼저 서방측은 소련 여객기의 운항을 전면 규제하고,

미국은 소련과의 문화 교류를 단절할 것을 발표하였다.

일본도 소련과의 외무장관 회담.무역회담의 중지를 고려하는 등 일.소 관계도 극도로 악화

되었다.

한편, 유럽의 여러 서방 국가들도 미국의 강경한 대응책에 동조하였으며, 

중국까지도 소련의 KAL기 격추를 ‘용서할 수 없는 만행’이라고 공식 비난하였다.

그리고 각국의 정부 차원에서의 강한 대응책 이외에도 민간 차원에서는 국제 조종사 협회

연맹KAL기 격추에 대한 보복 조치로 60일간 모스크바 취항을 중단하는 결의를 하였고, 각국의 조종사 협회는 이 결의를 즉각 지지하였다.



 

⊙ 야간 통행금지 해제            2019.12.27.금요일,맑음

야간 통행금지,통금,야통은 야간에 일반인의 통행을 금지하는 제도를 이르는 말이다.


원칙적으로 분쟁이나 재난이 있을 때에 치안 유지를 위해 오직 제한적으로만 시행된다.

어린이나 청소년의 보호를 위해 시행되기도 한다.

당나라의 장안, 조선의 한양 등 근대 이전의 도시에서는 주로 치안과 화재 예방을 위해

시행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국경 부근과 도성의 야간 통행 금지를 실시하였다.

행을 금지하는 시간은 인정(人定, 22:30)에서 파루(罷漏, 04:30)까지였다.

단,정월초하루,정월 대보름에는 행사를 위해 야간 통행을 허가하였다.


광복 직후인 1945년9월7일 이후로,미군정청이 공포한 '미 군정 포고1호'에 의해

서울과 인천에서 20:00에서 다음날 05:00까지 야간 통행금지가 실시되었으며,

이후 22:00부터 04:00까지로 바뀌었다.


한국전쟁 이후 전국으로 확대되어 계속되다가

1955년,'경범죄 처벌법'의 제정으로 내무부 장관이 통금을 실시하게 되었다.


야간 통행금지는 1982년1월5일,폐지될 때까지 36년4개월 동안 실시되었다.


야간통금은

1961년부터는 00:00부터 04:00까지였으며,

어떤 사회불안요인이나 정변이 있을 때에는 통행금지 시간이 연장되었다.

이 기간 동안 23:00~00:00에는 귀가를 위해 대중 교통이 북새통을 이루었다.

밤 12시에 사이렌이 울린 이후에 통행하는 사람은 경찰서에서 대기하다가 오전 4시에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이 기간 동안 학원 교습 시간을 줄여 야간 통금에 맞추었다.

야간통행금지 당시 김포 국제공항,김해 국제공항에 착륙하지 못한 국제선 비행기는

일본이나 홍콩,타이완,하와이,알래스카로 회항하는 경우가 많았다.

부처님 오신날,크리스마스 12월25일과 12월31일,신정에는 예외적으로 통행을 금지하지

않았다.

현재는 주한 미군만 평시의 야간 통행이 무기한 금지되며,

적군이 침투한 지역이나 적군의 공격을 받은 지역(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이나  연평도 포격 사건이 일어난 지역 등)에서 사건이 해결되거나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일반인에 대한 야간 통행 금지를 한시적으로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 제11대 국회위원 선거                    2019.12.27.금요일,맑음

1981년3월25일에 실시된 제11대 국회위원 선거다. 


1981년1월24일, 국가보위 입법회의에서 국회의원 선거구를 77개에서 92개로 증설하고

1구에서 2명씩의 지역구 의원을 선출하되 전국구 의원제도를 신설하여 국회의원 총수를

276명으로 하며, 선거 공영제의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국회의원 선거법이 제정된 이후 3월로 예상되는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비하여 각 당은 총선 체제를 수립하였다.


민주 정의당은

1981년2월17일, 중앙집행 위원회를 열어 92개 지구당 위원장 전원을 지역구 후보로 공천

   할 것을 결정하고

1981년2월18일, 지구당 위원장 회의를 소집,총선 전략을 시달하였고, 5개의 정책 지표와

   이의 실천을 위한 자주,다변 외교 전개,국토의 균형개발,교육기회 확대 등 61개 세부 실천

   사항으로 된 선거 공약을 확정.발표했다.

민주 한국당은

1981년2월21일, 공천심사 위원회를 구성하고

1981년2월28일, 정책 지구(민주사회당 고정훈 당수 입후보)인 서울 강남 지역을 제외한

   91개 지역구의 후보자 공천을 완료하였으며

1981년3월5일, 공천자 대회를 열어 45명의 전국구 후보자도 확정하였다.

   4개 분야에서 지방 자치제의 조속 실현,서민생활 보호를 위한 국민생활 보호위원회 설치

   등 51개 실천 정책을 선거 공약으로 제시하였다.

한국국민당은

1981년2월27일, 국가보위 입법회의가 처리한 언론 기본법,국회의원 선거법,국회법,정당법

   등의 불합리한 부분 개정,정치 활동이 자유롭고 정치범이 없는 정치 풍토 조성,서민생활과

   근로자 권익보장,자원비축 교역기지의 서해안 건설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선거 공약을

   제시하고

1981년2월28일, 75명의 지역구 후보자 공천을 확정,공천자 대회를 열어 선거 전략 및 득표

   요령을 시달한 데 이어 29명의 전국구 후보자를 확정했다.


이 밖에 나머지 정당들도 선거 대책본부를 구성하고 후보자 공천을 하는 등 선거 준비에

박차를 가했다.

1981년3월5일,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일이 3월25일로 공고됨에 따라 ,

   전국 92개 지역 선거구에서 후보자 등록이 일제히 시작되었다.

1981년3월10일, 마감된 후보자 등록 결과는 

   184명의 지역구 의원정수에 전국 92개 선거구에서 정당추천 529명,무소속 106명 등

   총 635명이 등록하여 전국 평균 3.5:1의 경쟁률을 보였다.


선거에 참여한 12개 정당들 가운데는

민주정의당이 전체 92개 지역구에서 후보자를 공천하였고,

민주한국당은 91개 지역구에서 공천하였으며,

다음으로 민권당이 82개 지역구,

한국국민당이 75개 지역구,

신정당이 54개 지역구,

민주사회당이 50개 지역구에서 후보자를 공천하였다.

무소속 입후보자는 모두 106명으로 전체 지역구 입후보자들 중 16.7%에 달했다.

1981년3월25일,

전국 1만2천237개 투표소에서 총유권자 2천109만4천468명 중 1천639만7천845명이

투표에 참가하여 78.4%의 투표율을 나타냈다.

투표율을 시도별로 보면

강원도가 88.0%의 가장 높은 투표율을 보였고,

그 다음이 충청북도로 86.7%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부산이 76.7%,

경기도가 76.1%,

서울이 71.1% 등 3개 시도만이 70%대의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


정당별 득표율은 

민주정의당이 35.6%의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고,

그 다음으로 민주한국당이 21.6%,

한국국민당이 13.3%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정당들은 10% 미만의 낮은 지지를 얻었다.

한편 무소속 입후보자들은 전체 10.7%의 득표율을 보였다. 


제5공화국 출범                    작성일자; 2019.12.27.금요일,맑음

 

1981년3월부터 1988년2월까지 지속된 한국의 다섯 번째 공화국이다.

1979년, 10.26 사태 후

전두환,노태우,정호용 등의 하나회가 중심이 된 신군부 세력이 주도하여 수립 하였다.

1979년12월12일,

신군부 세력은 군대를 동원하여 계엄 사령관 정승화를 연행함으로써 군부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1979년12월21일, 최규화가 제10대 대통령에 취임하였으나, 권은 신군부 세력에게 있었다.

1980년4월, 사북탄광 노동자 파업, 5월 전국 대학생들의 대규모 시위 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1980년5월17일, 신군부 세력은 비상 게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하였다.

1980년5월27일, 계엄군을 광주에 투입하여 진압하는 과정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1980년5월31일, '국가 보위 비상 대책위원회'가 발족되고,

1980년9월1일, 전두환이 제11대 대통령으로 취임,

1980년10월27일, 제5공화국 헌법이 공포되었다.

19880년12월 초, 민주정의당,민주한국당,한국국민당이 창당되고,

1981년3월3일, 전두환이 제12대 대통령에 취임함으로써 제5공화국이 정식 출범하였다.

 

정치 분야에서는


1인 장기 집권을 배격하기 위하여 대통령의 임기를 7년으로 하고 중임을 금지하였다.

국회의원의 1/3을 대통령이 추천하게 한 제도를 폐지하고 국회의 권한을 강화하였다.

대통령의 일반 법관 임명권을 폐지하고 대법원장이 그 권한을 갖게 함으로써

사법부의 독립성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대통령 간선제를 고수하고, 군 출신 인사들을 중용하는 등 유신 잔재 청산에 미흡한 모습을 보였다.

 

경제 분야에서는 과거 성장 제일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저물가.저금리.저환율의 3저정책과 부동산 투기 억제 등 안정 우선 정책을 추진하였다.


외교 분야에서는

1983년1월, 일본 총리  나카소네 야스 히로가 방한하였고,

1983년11월,

미국 대통령 레이건이 방한하는 등 정상 외교를 벌이는 한편,

소련·중국 등의 사회주의 국가들과도 관계개선을 시도하였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1986년, 아시 경기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고,

1988년 서울 올림픽 대회 유치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제5공화국은 박정희 정권과 마찬가지로 쿠데타로 성립된 군사 독재 정권이었다.

1980년5월, 광주 민주화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고 탄생한 제5공화국은 

물가안정,서울 올림픽 대회 유치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부정 부패와 민주화 운동탄압,

고문 등의 인권 유린 행위로 국민들의 비판을 받았다.

마침내 1987년6월에 일어난 6월 항쟁으로 6·29선언이 발표 되면서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약속하고,

1987년12월16일 대통령선거에서 노태우가 당선되어

1988년2월, 제6공화국으로 교체되었다.

⊙ 제12대 대통령 선거                2019.12.27.금요일,맑음

1981년2월25일, 대통령 선거인단의 간접 선거로 실시된 대통령 선거다.

후보자는 전두환,김종철,유치송,김의택 등 4명이다.


1980년9월1일, 제11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전두환과 집권당인 민주 정의당은 박정희 정권이 집권을 연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입한 통일주최 국민회의  제도를 모방해 대통령 선거인단이라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름만 다를 뿐 통일주체 국민회의 대의원의 손을 통해 대통령을 뽑던 박정희 정권의 대통령 간접 선거 제도를 그대로 차용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제5공화국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 선거인의 수는 법률로로 정하되 5,000인 이상으로 하며,

대통령 선거인단에서는 대통령을 무기명 투표로 선출하되 재적 대통령 선거인 과반수의

찬성을 얻은 자를 대통령 당선자로 선출하도록 하였다.

 대통령 선거법에는 대통령 후보자는 정당 또는 대통령 선거인 300인 이상 500인 이하의

추천을 받아 중앙 선거 관리 위원회에 등록 신청하도록 규정하였다.

1981년2월11일,전국 1,905개 대통령 선거인 선거구에서 직접선거에 의해 5,272명의

   대통령 선거인이 선출되었다.이 가운데 당선이 취소된 1명을 제외한 5,271명으로 구성된

   대통령 선거인단에 의해

1981년2월25일, 국회위원 선거구 단위별로 투개표가 실시되었다.

 

후보는 민주 정의당의 전두환,한국 국민당의 김종철,민권당의 김의택,민주 한국당의 유치송 등 4명이었다.

선거 결과 전두환 후보가 유효투표수의 90.2%인 4,755표를 얻어 압도적 표차로 당선,

1981년3월3일, 임기 7년의 제12대 대통령에 취임함으로써 제5공화국을 출범시켰다.


 

',·´″″°³ 역사.인물.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제11대 국회위원 선거/191227   (0) 2019.12.27
제5공화국 출범  (0) 2019.12.27
⊙ 민주정의당 창당/191227   (0) 2019.12.27
⊙ 언론 통폐합 조치/191227   (0) 2019.12.27
⊙ 8차 개헌/191227   (0) 2019.12.27

⊙ 민주 정의당  창당                20.19.12.27.금요일,맑음

민주 정의당(민정당)은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 노태우 정부 시기의 집권당이었다.

1979년,12.12 사태로 실권을 장악한 대통령 전두환은 국민들의 민주화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고, 이후 최규화를 축출하였다.

당시 하나회는 여당이었던 민주 공화당을 강제로 해체한 뒤, 부패 정치인으로 몰아 넣고

정치 활동을 금지시켰다.

 

전두환이 이끄는 신군부 세력이 중심이 되어 구정치인들의 정치활동을 규제한 가운데

1981년1월15일 창당하였다.

사실상 전두환의 집권을 위해 만들어진 정당이다.


정당 슬로건은 안정,평화,번영을 이었다.

민주당의 제2공화국의 사회 불안,민주 공화당의 제3~4공화국의 정국불안,

정국불안이란 곧 잦은 계엄령 및 긴급 조치 급기야는 최측근에게 대통령 암살을 가리키며, 정부 수립 뒤로 이어져온 이러한 불안을 떨치고자 내건 슬로건으로 보인다.

슬로건에 같이 하던 신군부 인사들(전두환,노태우,권정달,허화평,이춘구 등)이나

검찰 출신들(이한동,박희태)에

박정희 정권 때의 집권당이었던 민주공화당-유신 정우회 인사(김윤환,박준규)였다.

유신 시절에 야당을 하던 인사들이 민정당에 참여(이재형,채문식,김정례)하기도 했다.


전두환이 90%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정식으로 여당이 되었다.

대통령 전두환이 초대 총재가 되었으며 후에 노태우가 신임 총재가 되었다.


1981년의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과반수 의석을 획득하였고,

1985년.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신생 야당인 신한 민주당의 약진에도 불구하고

   지역구 제1당에 전국구 2/3(61석)을 배분하는 선거법 덕에 과반수 의석을 확보했다.

   민주 정의당은 독재 정치와 인권 유린으로 국민들의 반감을 샀고,

1987년,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등에서 시작한 6월 항쟁을 겪으며 최대 위기에 직면하였다.

1987년12월, 부정 선거 의혹을 받고 있는 대통령 선거에서 노태우 후보를 당선시켜 기사

   회생 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1988년4월,제13대 국회위원 총선거에서 야당에 패하여 과반수에 못 미치는 의석에

   그치면서 정기승 대법원장 임명안이 부결되는 등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1990년2월9일에  통일 민주당,신민주 공화당과 합당을 선언하고 민주 자유당으로

다시 출범하였다.



 

',·´″″°³ 역사.인물.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공화국 출범  (0) 2019.12.27
⊙ 제12대 대통령 선거/191227   (0) 2019.12.27
⊙ 언론 통폐합 조치/191227   (0) 2019.12.27
⊙ 8차 개헌/191227   (0) 2019.12.27
⊙ 장태완/191227   (0) 2019.12.27

⊙ 언론 통폐합 조치         2019.12.27.금요일,맑음

1980년11월, 언론 통폐합 조치는  당시 전두환 대통령의 지시 아래 추진된 언론 통폐합

조치이다.


1979년,10.26 사건과 12.12군사 반란을 거치면서 실권을 잡은 전두환은 계엄포고령에

   따라 모든 언론 보도를 검열했다.

1980년2월, 전두환은 보안사 정보처에 언론반을 신설했다.

   언론반은 언론인을 회유하고 언론 공작을 폈다.

   이러한 언론인 접촉 공작은 1980년8월 하순까지 추진됐다.

   보안사와 중앙 정보부는 파악된 언론인들의 동정,언론사 시안 등을 토대로 언론의 공정성,

   공공성을 회복한다는 구실로 언론 통폐합 사전 작업을 했다.

1980년11월11일, 신군부는 계엄 해제 이후 반발을 무마 하기 위해서는 언론통폐합이 필요

   하다는 인식 하에 언론 통폐합의 실행을 결심하고,허문도 등은 '언론 창달 계획을 입안,

1980년11월12일, 전두환의 결재를 득한 후, 집행을 보안사에 위임했다.

   위임받은 보안사는 1980년11월12일,오후 6시경부터 언론사 사주들을 연행․소환하여

   통폐합 조치를 통보하고 이의가 없다는 내용의 각서를 강제로 받았다.

 

전두환 대통령의 지시 아래,

1980년11월14일,한국방송협회,신문협회 등은 총회를 열고 방송,신문 통합 등

소위 '대한민국 언론의 개혁'을 골자로 하는 '건전 언론 육성과 창달에 관한 결의문'을 발의하여, 중앙지 신문은 7개에서 6개로,지방지 14개에서 10개로 줄었다.

'합동 통신'과 '동양 통신'이 해체.통합되면서 '연합 통신'이 설립되어 대한민국의 유일무이한

통신사가 됐다.


방송에선,

'한국 방송 공사'가 민영 방송인 동양,동아,전일,서해 방송,한국FM을 인수 합병하고,

민영 방송 문화 방송의 주식 65%를 강제 인수함으로써 대한민국 최대의 언론 기관이 됐고,

문화 방송은은 제휴민영방송사인 춘천,원주,강릉,삼척,대전,청주,충주,전주,광주,목포,여수,

대구,안동,포항,부산,울산,마산,전주,남양 문화방송의 지분의 반 이상(35%)을 문화방송으로 강제 양도 시키고, 한국방송공사에게 자사의 주식 65%가 강제로 넘어가며 법적 공영방송이 되었다.

민주화 운동에 기여해 왔다는 평가를 받는 기독교 방송국은 

보도 기능을 폐지당하고 종교방송만 방송하게 했다.

이후 대한민국의 방송국은 한국 방송공사,문화방송 계열국,기독교 방송,극동방송,아세아

방송 등 26개로 축소됐다.


 

',·´″″°³ 역사.인물.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제12대 대통령 선거/191227   (0) 2019.12.27
⊙ 민주정의당 창당/191227   (0) 2019.12.27
⊙ 8차 개헌/191227   (0) 2019.12.27
⊙ 장태완/191227   (0) 2019.12.27
⊙ 정승화/191227  (0) 2019.12.27

⊙ 8차 개헌                 2019.12.27.금요일,맑음 

1980년10월22일, 국민 투표로 확정되고 27일 공포.발효된 제5공화국의 헌법 제정이다.

전문과 10장 131조 및 부칙으로 이루어진 개헌안의 주요내용

1.전문에서'4.19 의거''5·16혁명' 이념계승 삭제,'3.1운동' 정신 계승 및 제5공화국 출범 명기

2.총강에서 전통문화 창달·재외국민 보호·국가의 정당보조금 지급 조항 신설

3.기본권의 개별유보조항 삭제, 연좌제 금지·환경권·행복추구권 신설

4.선거인단에 의한 대통령 간선제 및 7년간 단임제,

   대통령의 비상조치권·국회해산권 발동요건 강화

5.국회의원 비례대표제 채택, 임기 4년

6.대법원장에게 일반법관 임명권 부여,

   대법원에 행정·조세·노동·군사 등의 전담부 설치 근거규정 마련

7.독과점 금지 및 중소기업 보호, 소비자 보호규정 신설

8. 통일주최 국민회의 폐지, 헌법개정 절차 일원화

9.부칙에서 과도입법기관으로 국가 보위입법회의 규정 등 이다.



 

',·´″″°³ 역사.인물.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민주정의당 창당/191227   (0) 2019.12.27
⊙ 언론 통폐합 조치/191227   (0) 2019.12.27
⊙ 장태완/191227   (0) 2019.12.27
⊙ 정승화/191227  (0) 2019.12.27
대통령 전두환  (0) 2019.12.27

⊙ 장태완                              2019.12.27.금요일,맑음

장태완(생졸;1931년9월13일~2010년7월26일)은

군인이자 정치가다.

그의 유해는  국립 대전 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대구 상원고등학교와  육군종합학교,육군종합학교,육군보병학교,육군공병학교를 졸업하여 육군본부 군사연구실장, 교육참모부 차장 등을 거쳐 수도권 경비사령관에 올랐으나

1979년,

12.12 군사 쿠데타 시 신군부측에 반기를 들다 강제 예편됐다.

이후 1994년에 자유 경선에서 재향 군인 회장에 당선되어 6년간 재향 군인회를 이끌었다.

2000년3월,

민주당에 입당해 정계에 입문하여 16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이후 여당 지도부의 일원으로 일했으며,

2002년에는 노무현 대통령 후보 보훈특보를 지냈다.

2010년7월26일,

숙환으로 향년 78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³ 역사.인물.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언론 통폐합 조치/191227   (0) 2019.12.27
⊙ 8차 개헌/191227   (0) 2019.12.27
⊙ 정승화/191227  (0) 2019.12.27
대통령 전두환  (0) 2019.12.27
⊙ 제11대 대통령 선거 실시/191227   (0) 2019.12.27

⊙ 정승화                    2019.12.27.금요일,맑음

정승화(생졸;1929년2월27일~2002년6월12일)는 군인이며 정치가다.

한국정쟁 무렵 백골부대의 대대장으로 활동했고 제22대 육군참ㅗ총장을 역임했다.

12.12 쿠데타 이후 신군부 세력에 의해 김재규의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보충역 이등병으로 예편되었다가 후에 문민 정부에 와서 무죄 판결을 받고 복권되었다.

그의 유해는 국립대전 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정승화는 경북 김천 태어났다.

그의 19대조 정종소는 성균관 사성을 역임했으나 단종 복위운동이 실패로 돌아가자 낙향

하였다. 그 뒤 18대조 정이교 사헌부 장령과 홍문관의 교리를 역임했지만 무오사화로 화를 당하자 정이교의 처와 자식들은 외가인 김천으로 가서 은거하였고,

이후 김천에서 정착생활을 했다.

1947년,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5기생으로 입학하여

1948년4월,졸업과 동시에 대한민국 국군이 출범하자 소위로 임관하여 이어 대위가 되였다.

1950년,6 25가 발발하자 3사단 대대장으로 낙동강 전투와 기계-안강 전투,형산강 도하

작전에 지휘관으로 출전했다.

현리 전투에서는 중공군에게 포로가 되었다가 탈출하기도 하였다.

이어 육군 제3보병사단 작전참모로 재직 중 1953년 휴전을 맞이하였다.

1961년,5.16 군사정변 때는 육군 본부 예하 방첩 부대장(기무 사령관)을 역임하고,

현역 대령 계급으로써 육군 2군단 작전참모를 거쳐 육군 2군단 작전과 과장으로 재직 중

국가 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의 한 사람에 임명,겸임되었다.

1961년8월11일, 최고위원의 한 일원 시절 육군 준장으로 진급하였다.

1962년, 2군단 작전과장에서 다시 방첩부대장으로 전임되었다.

1962년7월30일,북한에서 월남한 월남귀순자 원호심사위원회 심사위원을 겸임하였다.

1963년11월, 야당으로부터 군부재자 투표 당시 선거과정을 조작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1963년11월21일,민주당 이춘기 선거사무장은 정승화 방첩대장이 차규헌 육본 정보처장과 함께 제2군단방첩대와 대전지구방첩대에서 병사들의 선거 무관심을 유도했다는 의혹이었다 이춘기 사무장은 그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정선거를 하도록 지령을 내렸다며 그가 내린

지령 일부를 입수하여 폭로하였다.

그러나 민주당 등 야당 측의 공격에서 그는 별다른 제한이나 제약을 받지 않았다.

이후 육군 보병 제7사단 참모장 등을 지내고 국방부 인사국 부국장, 1군단 참모장,육군 제7사단 부사단장,

1965년, 육군 제1군단 부군단장, 육군본부 특전감, 육군 제3군단 참모장, 육군 제3군단 부군단장,

1966년11월, 소장으로 진급, 12월 육군 제7사단장,

1967년1월, 국방부 인사국장이 되었다.

2월 초,베트남 전쟁 파병 군인들의 부재자투표 선거관리단장이 되어 선거절차관리위원에 선정된 군인들을 대동하고 베트남에 다녀왔으며,

2월24일,대한체육회 이사에 선출되었다.

8월에는 문교부 체육심의위원에 위촉되어 겸임하였다.

11월에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제22차 국제군인체육대회 연차 총회에 대한민국

국군측 대표단의 한 사람으로 참석하고 12월16일에 귀국하였다.

1968년2월17일에는 비상조치로 전 장병의 전역 보류 정책을 기안하여 상신시켰다.

이로써 그 무렵 전역 예정된 장병들의 전역은 2~4개월 이상 연장되었다.

3월4일,대한체육회 이사에 재선임되고

3월16일에는 육본 인사국장으로 대한체육회 해외파견, 초청심의위원회 위원을 겸임했다.

1968년,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차장으로

8월19일, 육군종합행정학교 창설위원회 위원장을 겸하였고,

10월16일, 육군 종합행정학교 교장이 되었다.

1970년,1군사령부 참모장을 거쳐

그해 7월,육군본부 기획참모부장,

8월,육본 정책기획부장이 되어 8월 29일 영국, 프랑스, 벨기에, 터키, 서독, 스웨덴을 방문하였으며, 유럽 순방 중 9월 초 다시 육본 기획참모부장이 되어 9월6일,서종철 육군참모총장을 수행하여  벩에 카스토의 유럽주둔 연합군 최고사령부를 방문  사령관을 면담하고 귀국했다.

1972년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 부장,

1973년3월6일,육군 중장으로 특진하여 이후 육군 제3군단 군단장 등을 등을 두루 역임하고 1975년9월부터 1977년12월까지 육군사관하교 교장을 역임했다.

1977년12월, 육군 제1군사령부 사령관,

1979년2월1일에 제22대 육군 참모총장으로 승진했다.


그러나 그는 10.26사태때에  궁정동 안가 '가'동에 있었으며(피살장소는 '나'동이었음),

이러한 사실이 육군보안사령부 사령관 전두환이 쿠데타를 일으키는 명목이 되었다.

10월27일, 새벽 4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이 선포되었고, (계엄사령관 정승화) 국무총리 최규하가 대통령 직무대행이 되었다.

10월 27일 새벽 4시부로 계엄사령관이 되어 김재규 체포 작전을 지시하였다. 그러나 정승화는 심증만 있고 확실한 증거를 잡지 못해 김재규를 쉽게 체포하지 못하고 머뭇거렸다.

정승화는 불리한 입장에 서 있었지만 야당 인사들과 손잡는 것을 거부하였다.

그는 야당 인사들의 진정성을 의심하였다.

11월28일 이후 대권 문제가 이슈가 되었다.

정승화는 언론사 간부들을 세 차례나 육군본부로 초대하여 차기 대권을 둘러싸고 국민의

관심이 쏠린 세 사람을 극렬하게 비난했다.

즉 김대중은 사상이 의심스럽고, 김영삼은 무능력하며, 김종필은 너무 부패했다는 말이다.

이것은 당시 군부의 일반적인 생각이었다.

이런 소신을 가졌던 정승화는 결국 야당 인사들에게 어떠한 협력, 인정도 거부하였다.

전두환이나 노태우에게 저항하기 위해서라도 야당에 참여하라는 어느 후배,동료들의 권고도 냉정하게 잘라버렸다.


1979년,12.12사태 당시 전두환의 부하  허삼수에게 연행되고,

육군참모총장직이 박탈됨과 동시에 육군보안사령부 서빙고 분실에서 당시 육군 수도경비

사령관 장태완 소장 등과 함께 고문을 받은 그는 국방부 군법회의 재판에 회부되어 첫 공판에서 내란방조미수죄로 징역 10년형을 선고받았다.

재판 직후 보충역 육군 이등병으로 강제 예편되었고 곧이어 국방부 장관의 형량 확인 과정에서 징역 7년형으로 감형되었다.

군 교도소에서 복역하다 1980년6월10일, 형집행정지로 석방되었으며, 집행유예형이 내려졌지만 81년 3월 전두환 대통령 취임기념 특사로 사면, 복권되었다가 1988년 군적이 회복되었다.


이후에는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직전 전격적으로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여 통일민주당 상임고문으로 김영삼 후보를 지지하였다.

하지만 1988년4월25일을 기하여 정계 은퇴 이후 사실상 정치에서 완전히 손을 떼었다.

1993년에는 전두환과 노태우를 내란 성향 반란 주범으로,김계원 前 타이완 주재 대사와

김진기 예비역 육군 준장을 간접 도의성 책임 회피 관련 종범으로 모두 김영삼 정부에 고발하고자 장태완,이건영 등과 함께 작은 모임을 가진 바 있다.

1997년 "김재규 내란기도 방조미수혐의"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 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과 자유민주연합 행정특임고문을 역임하기도 했다.

1999년부터는 당뇨와 고협암 등 각종 질환으로 고생하였고, 만년에는 파킨스을 앓기도했다.2002년에 병세가 악화되어 서울 신촌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했다가 그해 6월12일 사망했다.


셋째 아들 정이열은 그의 생전에 육사 38기로 졸업하고 육군본부 등에서 근무하였다.

정승화는 사후 2002년6월 육군장으로 장례식을 치른 뒤 대전 현충원에 안장되었다.

 

',·´″″°³ 역사.인물.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8차 개헌/191227   (0) 2019.12.27
⊙ 장태완/191227   (0) 2019.12.27
대통령 전두환  (0) 2019.12.27
⊙ 제11대 대통령 선거 실시/191227   (0) 2019.12.27
⊙ 5.18 광주 민주화 운동/191227   (0) 2019.12.27

+ Recent posts